부당이득에 관한 연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14 12:44
본문
Download : 부당이득에 관한 연구.hwp
부당이득에 관한 연구
설명






순서
<목 차>
제일장 서
Ⅰ. 부당이득의 의의
1. 부당이득의 관념 및 손실간의 조정
2. 부당이득에 관한 사건으로서의 법률요건
Ⅱ. 부당이득의 연역
1. 부당이득제도의 연역
2. 부당이득제도의 립법례
제이장 부당이득제도의 理論(이론)적 근거
Ⅰ. 서설
1. 통일설
1) 공평설
2) 정법설
3) 전제설
4) 채권설
5) 권리설
6) 정적안정설
7) 비판
2. 비통일설
1) 빌부르크(W·Wilburg)설
2) 케머러(Von Caemmerer)설
3) 비판
3. 소결
제삼장 부당이득의 법적성질
제사장 부당이득제도의 일반성립요건
Ⅰ.서 설
Ⅱ. 수 익
1. 재산의 적극적 증가
2. 재산의 소극적 증가
Ⅲ. 손 실
1. 수익과 손실의 인과관계
2. 인과관계 적용상의 결점
제오장 부당이득의 效果
Ⅰ.서설
Ⅱ. 부당이득반환의무
1. 반환의 물체
2. 반환범위
3. 수익자의 선의ㆍ악의
Ⅲ. 선의의 수익자의 반환의무의 범위
1. 서
2. 현존이익의 결정시기
3. 현존이익의 내용
1) 원물반환의 경우
2) 가액반환의 경우
Ⅳ. 악의의 수익자의 반환의무의 범위
1. 서
2. 악의의 수익자
1) 원물반환의 경우
2) 가액반환의 경우
3. 악의의 전득자의 반환책임
1) 의의
2) 책임반환의 발생요건
Ⅴ. 부당이득반환청구가 부정되는 경우
1. 민법의 규정
2. 비채변제
1) 임의의 비채변제
2) 기한 전의 변제
3) 도의관념에 적합한 비채변제
4) 타인의 채무의 변제
3. 불법原因급여
1) 관련법조항
2) 요건
3) 제746조의 적용범위
4) 效果
제육장 부당이득의 결점
Ⅰ. 반환되어야 할 부당이득의 관념
1. 유체적 이득과 무체적 이득
2. 재산차액과 취득이익
Ⅱ. 과실의 포함 여부
1. 국내의 견해대립
2. 독일민법의 경우
Ⅲ. 악의수익자의 반환범위
1. 악의수익자의 귀책사유문제
2. 손해배상청구권의 포기문제
Ⅳ. 結論
2. 독일민법의 경우
독일민법은 물권행위에 있어 무인설의 입장을 취하기 때문에 선의수익자는 대부분의 경우 점유자가 아닌 당당한 소유자가 되고, 이에 따라 점유에 관한 규정은 선의수익자에게 적용될 여지가 거의 없게 된다 따라서 무효·취소의 原因이 물권행위와 채권행위에 공통으로 존재하는 예외적인 경우가 아닌 한 선의수익자가 부당이득규정에 따라 果實을 반환하는 것은 당연한 일이 된다 설령 선의수익자가 점유권만을 갖는 예외적인 경우(예를 들면 물권행위도 무효인 경우)여서 점유규정이 적용된다 하더라도 독일민법상 선의점유자는 그 점유를 유상으로 취득하였고, 수취한 과실이 통상의 경영법칙에 의하여 물건의 수익으로 인정되는 경우에 한하여 과실의 수취권을 갖게 될 뿐이다(제988조, 제993조 1항). 따라서 독일민법상 선의수익자가 과실의 수취권을 갖는 경우는 극히 제한되어 있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하지만 독일민법에 있어서도 선의점유자가 선의수익자보다…(To be continued )
레포트/경영경제
부당이득에 관한 사건으로서의 법률요건과 개념 및 손실간의 조정 등에 관해 연구한 자료입니다.,경영경제,레포트
不當利得에관한硏究
부당이득에 관한 사건으로서의 법률요건과 槪念 및 손실간의 조정 등에 관해 연구한 data(자료)입니다.不當利得에관한硏究 , 부당이득에 관한 연구경영경제레포트 ,
Download : 부당이득에 관한 연구.hwp( 39 )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