잔골재의 밀도 및 흡수율 시험방법[KS F 2504]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08 22:36
본문
Download : 잔골재의 밀도 및 흡수율 시험방법[K.hwp
윗지름 40±3㎜, 아래지름 90±3㎜, 높이 75±3㎜, 두께 4㎜ 이상이어야 한다.
5) 건조기(전기 혹은 가스용)
있어서 다음과 같은 경우에 필요하다. 사용하는 골재의 함수량을 알고 유효흡수량 또는 표면수량을 구할 때 흡수량이 필요하다. 나. 절대용적(絶對容積)배합을 중량배합으로 환산할 때 또는 중량배합의 골재를 용적배합으로 환산할 때 비중 및 흡수량이 필요하다.
팬 또는 적당한 시료용기
다. 3. 시험방법





레포트 > 자연과학계열
건조기는 배기구가 있는 것으로, 105±5℃의 균일한 온도를 유지할 수 있는
2) 플라스크(Flask)
다.
검정된 용량을 나타내는 눈금까지의 용적은 시료를 넣는 데 필요한
있고, 그 용량을 ±0.1% 이내에서 측정할 수 있는 것으로 한다.
① 비흡수성의 플라스크 또는 다른 적절한 용기는 잔골재를 쉽게 집어넣을 수
3) 원추형(圓錐形) 몰드(Conical Mould, 금속제 플로콘)
Download : 잔골재의 밀도 및 흡수율 시험방법[K.hwp( 57 )
잔골재의 밀도 및 흡수율 시험방법[KS F 2504]
1. 시험목적
용적의 1.5배 이상 3배미만으로 한다.
나. 24시간 뒤에 팬속의 물을 버린 후 시료를 건조시킨다.
1. 시험목적 ①이 시험은 잔골재의 일반적 성질을 판단하고, 또한 콘크리트 배합설계에 있어서 다음과 같은 경우에 필요하다.
-표건상태의 시료 만드는 방법-
6) 시료 분취기(Sample Splitter), 수조(水槽), 건습기(Desicator),
② 일반적으로 플라스크는 검정된 것으로써 용량이 20℃에서 500㎖이며
4) 다짐봉(Tamper)
1) 저울 : 칭량(秤量) 1㎏ 이상, 감도(感度) 0.1g 이상이며, 시료 질량의 0.1% 이내를 읽을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
가. 잔골재의 절대용적을 알기 위하여 행한다. 가. 잔골재의 절대용적을 알기 위하여 행한다.
설명
적당한 크기이어야 한다. 잔골재 표면의 무릭가 거의 없어져 갈 때 원추형 몰드에 시료 가득 채운 후 표면을 다짐막대로 가볍게 25회 다지고 나서 표면을 수평으로 한 뒤 몰드를 수직으로 빼 올린다. 다.
①이 시험은 잔골재의 일반적 성질을 판단하고, 또한 콘크리트 배합설계에
가. 작은 팬에 시료 1,200g을 넣고 물을 가득 채운다.
다.
순서
0.15㎖의 눈금이 있는 플라스크로 하는 경우가 많다.
질량 340±15g,지름 23±3㎜인 평평하고 원형인 다짐면을 가진 것 이어야 한다. 또한,
나. 절대용적(絶對容積)배합을 중량배합으로 환산할 때 또는 중량배합의 골재를 용적배합으로 환산할 때 비중 및 흡수량이 필요하다. 사용하는 골재의 함수량을 알고 유효흡수량 또는 표면수량을 구할 때 흡수량이 필요하다.
잔골재의 밀도,잔골재흡수율
①잔골재 1,200g을 준비하여 표면건조 포화상태(표건상태)로 만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