준법투쟁의 대표유형별정당성법적검토 - 준법투쟁의 대표 유형별 정당성 법적 검토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27 10:30
본문
Download : 준법투쟁의대표유형별정당성법적검토.hwp
설명
준법투쟁,대표유형별정당성법적검토,법학행정,레포트
레포트/법학행정
준법투쟁의 대표 유형별 정당성 법적 검토
1. 집단적 연월차휴가 사용
가. 구속 근로자에 대한 석방촉구를 목적으로 집단 조퇴, 연·월차휴가 사용한 instance(사례)
집단조퇴, 월차휴가신청에 의한 결근 및 집회 등 쟁의행위가 주로 구속근로자에 대한 항소심 구형량이 1심보다 무거워진 것에 대한 항의와 석방촉구를 목적으로 이루어진 것이라면 근로조건의 유지 또는 향상을 주된 목적으로 한 쟁의행위라고 볼 수 없어 노조법의 적용대상인 쟁의행위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할 것이어서, 다수근로자들이 상호 의사연락하에 집단적으로 일시에 조퇴하거나 결근하는 등 노무제공을 거부함으로써 회사업무의 정상적인 운영을 저해하였다면 이는 다중의 위력에 의한 업무방해행위에 해당한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준법투쟁의 대표유형별정당성법적검토 - 준법투쟁의 대표 유형별 정당성 법적 검토
준법투쟁의 대표유형별정당성법적검토
Download : 준법투쟁의대표유형별정당성법적검토.hwp( 22 )
준법투쟁의 대표유형별정당성법적검토 - 미리보기를 참고 바랍니다.
또한, 근로기준법상 월차유급휴가의 사용은 근로자의 자유의사에 맡겨진 것으로서 연차유급휴가와는 달리 사용자에게 그 시기를 변경할 수 있는 권한조차 없는 것이지만, 정당한 쟁의행위의 목적이 없이 오직 업무방해의 수단으로 이용하기 위하여 다수의 근로자가 집단적으로 일시에 월차유급휴가를 신청하여 일제히 결근함으로써 회사업무의 정상적인 운영을 저해한 경우에는 업무방해행위를 구성한다고 볼 수밖에 없다.
나. 회사로부터 거부당한 요구사항을 관철시키기 위해 집단적 연월차휴가를 사용한 경우
택시회사 노동조합이 실질적으로 회사로부터 거부당한 요구사항을 관철시키고 회사의 정상적인 업무수행을 저해할 의도로 근로자들에게 집단적으로 연차휴가를 사용할 것을 선동하고 이에 따라 근로자들의 집단적 연차휴가 사용 및 근로제공 거부행위가 이루어진 경우, 이는 이른바 쟁의적 준법투쟁으로서 쟁의행위에 해당하나, 회사에게 예상치 못한 업무의 저해를 초래하였으며 택시 이용자들에게 많은 불편을 초래한 점 등이 인정된다면, 이와 같은 준법투쟁은 정당한 쟁의행위의 한계를 벗어난 것이다.
2. 집단적 휴일, 연장근로 거부
가. 통상적으로 해오던 연장근로를 집단적으로 거부한 경우
연장근로가 당사자의 합의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省略)
다. , 준법투쟁의 대표유형별정당성법적검토 - 준법투쟁의 대표 유형별 정당성 법적 검토법학행정레포트 , 준법투쟁 대표유형별정당성법적검토


순서
- preview를 참고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