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 순화’에 담긴 무서운 상상력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25 23:57
본문
Download : 박.hwp
그런데 이러한 언어의 차이를 의사소통의 ‘벽’이나 ‘괴리감’ 등 부정적 단어로만 묘사하는 일부의 시각과 그 속에 담긴 이데올로기 역시 우려하지 않을 수 없다. 방송을 보아도 아나운서나 멋진 주인공들이 사투리를 쓰는 것을 본 적이 없다. 이는 ‘표준어 사용’이나 ‘언어의 통일’을 역설하기 보다는 우리 언어의 다양성을 수용하기에 편협한 국어사용 현실을 개탄해야 할 일이 아닐까? 또한 반세기의 분단으로 差別(차별) 적으로 발달해 온 북한말은 우리 말을 더욱 발전시키고 연구하는데 있어 매우 귀중한 자산이다.





국어 국어순화 표준어 / ()
순서
국어 국어순화 표준어
국어 국어순화 표준어 / ()
다. 우리가 가꾸고 보존해야 할 한글이 ‘교양 있는 사람들만이 쓰는 현시대 서울말’은 아닐 터이다. 경상도 사투리가 진한 ‘친구’나 ‘똥개’를 보고 무슨 말인지 이해할 수 없었다는 사람들이 있었다고 한다.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Download : 박.hwp( 43 )
‘국어 순화’에 담긴 무서운 상상력
설명
하지만 ‘교양 있는 사람들이 쓰는 현대 서울말’이라는 표준어의 定義(정이) 뒤에 숨겨진 이데올로기적 억압에 의문을 제기하는 사람은 별로 없는 듯하다. 전라도사투리나 경상도 사투리는 소설, 영화, 드라마 할 것 없이 양념으로 등장하는 것이지 그 이상의 정체성을 가지고 소통된 예는 극히 드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