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국문] 고전문법 총정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19 09:08
본문
Download : 고전문법총정리.hwp
<예:뛰다[躍]~튀다[彈]>)) 모음 사이에 둘 이상의 자음이 올 수 없다.) 모음 연접(hiatus)을 기피하는 현상이 있다아 (2) 어휘상의 …(생략(省略))
다. (주로 의성어, 의태어들이며<예:빙빙-삥삥-핑핑> 낱말의 뜻을 분화시키기도 한다.
설명
레포트/인문사회
I.國語의 特質, 1. 國語의 特質, (1) 음운상의 특질, (2) 어휘상의 특질, (3) 구문상의 특질, II. 文字體系, 1. 漢文의 定着과 借字表記法, 2. 固有名詞 表記, 3. 誓記式 表記, 4. 吏讀, 5. 口訣, 6. 鄕札, III. 訓民正音, 1. 訓民正音 體系, (1) 初聲體系 , (2) 中聲體系, (3) 終聲體系, (4) 竝書, (5) 連書, (6) 聲調(傍點), IV.國語의 特徵, 1. 국어 자음의 변천 과정, 2. 국어 모음의 변천 과정, 3. 중세 국어의 특징, (1) 음운의 특징, (2) 문법의 특징, (3) 조어법의 특징, (4) 표기법의 특징, 4. 근대 국어의 특징, V. 중세 국어, 1. 음운 변화, (1) 자음의 변화, (2) 모음의 변화, 2. 문법, (1) 형태, 3. 문장의 짜임새, (1) 문장 ingredient, (2) 겹문장의 짜임새, VI. 근대 국어, 1. 음운 변화, (1) 자음의 변화, (2) 모음의 변화, (3) 음운체계, VII. 現代國語, 1. 子音體系, 2. 母音體系, , , 자료(data)크기 : 346K
국어자음의변천과정,중세국어의특징,음운변화,인문사회,레포트
I.國語의 特質, 1. 國語의 特質, (1) 음운상의 특질, (2) 어휘상의 특질, (3) 구문상의 특질, II. 文字體系, 1. 漢文의 定着과 借字表記法, 2. 固有名詞 表記, 3. 誓記式 表記, 4. 吏讀, 5. 口訣, 6. 鄕札, III. 訓民正音, 1. 訓民正音 體系, (1) 初聲體系 , (2) 中聲體系, (3) 終聲體系, (4) 竝書, (5) 連書, (6) 聲調(傍點), IV.國語의 特徵, 1. 국어 자음의 변천 과정, 2. 국어 모음의 변천 과정, 3. 중세 국어의 특징, (1) 음운의 특징, (2) 문법의 특징, (3) 조어법의 특징, (4) 표기법의 특징, 4. 근대 국어의 특징, V. 중세 국어, 1. 음운 변화, (1) 자음의 변화, (2) 모음의 변화, 2. 문법, (1) 형태, 3. 문장의 짜임새, (1) 문장 성분, (2) 겹문장의 짜임새, VI. 근대 국어, 1. 음운 변화, (1) 자음의 변화, (2) 모음의 변화, (3) 음운체계, VII. 現代國語, 1. 子音體系, 2. 母音體系, , , FileSize : 346K , [국어국문] 고전문법 총정리인문사회레포트 , 국어자음의변천과정 중세국어의특징 음운변화
Download : 고전문법총정리.hwp( 29 )






순서
[국어국문] 고전문법 총정리
I.國語의 特質
1. 國語의 特質
(1) 음운상의 특질
(2) 어휘상의 특질
(3) 구문상의 특질
II. 文字體系
1. 漢文의 定着과 借字表記法
2. 固有名詞 表記
3. 誓記式 表記
4. 吏讀
5. 口訣
6. 鄕札
III. 訓民正音
1. 訓民正音 體系
(1) 初聲體系
(2) 中聲體系
(3) 終聲體系
(4) 竝書
(5) 連書
(6) 聲調(傍點)
IV.國語의 特徵
1. 국어 자음의 변천 과정
2. 국어 모음의 변천 과정
3. 중세 국어의 특징
(1) 음운의 특징
(2) 문법의 특징
(3) 조어법의 특징
(4) 표기법의 특징
4. 근대 국어의 특징
V. 중세 국어
1. 음운 alteration(변화)
(1) 자음의 alteration(변화)
(2) 모음의 alteration(변화)
2. 문법
(1) 형태
3. 문장의 짜임새
(1) 문장 성분(成分)
(2) 겹문장의 짜임새
VI. 근대 국어
1. 음운 alteration(변화)
(1) 자음의 alteration(변화)
(2) 모음의 alteration(변화)
(3) 음운체계
VII. 現代國語
1. 子音體系
2. 母音體系
1. 國語의 特質 (1) 음운상의 특질) 국어의 자음체계는(특히 파열음 계열에서) 예사소리, 된소리, 거센소리의 삼중 체계를 이루고 있다아) 語頭에 오는 자음에 제약이 있다아(頭音法則) ) 音節末에는 7개의 자음(ㄱ ㄴ ㄷ ㄹ ㅁ ㅂ ㅇ)만이 실현된다 (음절 끝소리 규칙)) 母音調和 현상이 있다아) 同化作用이 있다아(모음동화→‘ㅣ’모음 동화. 자음동화→비음화, 설측음화)) 音相의 차이로 의미가 달라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