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절기와 농사력에 관한 고찰... (세시풍속)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02 04:50
본문
Download : 24절기와 농사력에 관한 고찰 (세시풍속).hwp
우리나라의 세시풍속에 있어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省略)
순서
,인문사회,레포트
모두들 화이팅!!!
24절기와 농사력에 관한 고찰... (세시풍속)
_hwp_01.gif)
_hwp_02.gif)
_hwp_03.gif)
_hwp_04.gif)
_hwp_05.gif)
_hwp_06.gif)
레포트/인문사회
많이 공부하고 연구해서 만든 좋은data(자료)예요... 꼭 좋은 결과 있으시길 기도할께요.
많이 공부하고 연구해서 만든 좋은자료예요... 꼭 좋은 결과 있으시길 기도할께요. 모두들 화이팅!!!24절기와농사력세시 , 24절기와 농사력에 관한 고찰... (세시풍속)인문사회레포트 ,
Download : 24절기와 농사력에 관한 고찰 (세시풍속).hwp( 39 )
설명
24절기와농사력세시
다. 태양력상 새해의 첫출발일 이기에 종교적인 성격도 지니고 있따 한해의 복을 기원하고 농사의 풍년을 빌며 개인과 가정, 마을, 국가의 안녕을 빌며 이러한 염원은 놀이와 점복등에서 나타난다.
<< 세시풍속(歲時風俗) >>
◈ 설날
설날은 1년의 첫째 날이며 원일, 세수라고도 한다.
* 24절기의 정이및 내용
* 월별 농사력과 세시풍속
* 참고reference(자료)
정월(1월)
<< 농사력(農事曆) >>
◈ 입춘(立春) - 농사를 미리 준비하고, 보리의 생육조사로 풍흉작을 예측.
◈ 우수(雨水) - 어미닭에게 달걀을 안기고 종자를 고른다. 설의 민속으로는 설빔, index, 세배, 덕담, 복조리등이 있으며 민속놀이로는 널뛰기, 윷놀이, 연날리기, 승경도놀이, 돈치기등이 있따
◈ 대보름
대보름은 음력 정월의 상원이다. 논에 객토를 넣고 거름을 낸다. 우수 3일뒤 비가 오면 풍년의 징조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