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Nous)에 관한 고대철학적 논의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12 11:21
본문
Download : 정신(Nous)에 관한 고대철학적 논의.hwp
Download : 정신(Nous)에 관한 고대철학적 논의.hwp( 80 )
<플라톤의 인간의 정신>
플라톤은 진리의 원천은 영혼속에서 찾아져야만 한다고 말한다. 그리고 이것이야 말로 바로 선천성의 槪念이기도 하다. 우리들은 동시에, 플라톤은 이 槪念을 이상적인 모습을 띠고 있는 모든 존재자들을 우리들에게 드러내 보여주는, 원형적인 지식이라고 생각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상기설에 있어서, 우리들은 <미리 보았다>고 하는 말을 지나치게 강조해서는 안된다된다. . 이 사상은 오히려, 영혼이 신들 곁에서 미리 보았었기 때문에 그전부터 완성되어 있는 것이다. 즉 정신은 본성적으로 항상 이 진리에 대한 앎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이런데 이렇게 알고 있다는 사실은, 우리들에게 확실하고 본질적인 관점, 즉 진리인식과 가치인식이라는 관점에서 보자면, 인간을 시간과 공간적인 것을 넘어서게 하는 것에 지나지 않는다. 플라톤은 우리들의 정신의 보편타당적이고, 비감각적이고 선천적인 내용을 드러내 보임으로써, 상대주의, 현상론, 감각주의 및…(투비컨티뉴드 )
설명
,인문사회,레포트
순서
%EC%97%90%20%EA%B4%80%ED%95%9C%20%EA%B3%A0%EB%8C%80%EC%B2%A0%ED%95%99%EC%A0%81%20%EB%85%BC%EC%9D%98_hwp_01.gif)
%EC%97%90%20%EA%B4%80%ED%95%9C%20%EA%B3%A0%EB%8C%80%EC%B2%A0%ED%95%99%EC%A0%81%20%EB%85%BC%EC%9D%98_hwp_02.gif)
%EC%97%90%20%EA%B4%80%ED%95%9C%20%EA%B3%A0%EB%8C%80%EC%B2%A0%ED%95%99%EC%A0%81%20%EB%85%BC%EC%9D%98_hwp_03.gif)
%EC%97%90%20%EA%B4%80%ED%95%9C%20%EA%B3%A0%EB%8C%80%EC%B2%A0%ED%95%99%EC%A0%81%20%EB%85%BC%EC%9D%98_hwp_04.gif)
정신(Nous)에관한고대철학적논의 , 정신(Nous)에 관한 고대철학적 논의인문사회레포트 ,
레포트/인문사회
정신(Nous)에관한고대철학적논의
정신(Nous)에 관한 고대철학적 논의
다.
모든 본질적인 것들은 선천적으로 정신에게만 있는 것이기 때문에, 경험에 의해서 새로이 얻어지는 일은 절대로 없고, 항상 재인식됨으로써만 의식되게 된다는 것이다. 모든 인식은 바로 이 정신 덕택으로 이뤄지며, 그렇게 되어야만 인식이 진리에 이를 수 있다 그러나 정신은 진래에 대한 이러한 지식을 애써 획득할 필요는 없다. 플라톤이 이 말을 글자 그대로 이해했건, 은유적으로 이해했건 간에, 결국 플라톤 자신이 문제삼은 것은, 정신이 선천적, 원형적으로 알고 있다고 하는 사실이다. 그는 이러한 영혼을 정신, 즉 순수한 사고라고 생각한다.
풀라톤은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 우리들은 이데아를, 영혼이 신들 곁에 미리 존재하고 있었을 때는, 보았으나 이제는 시간과 공간 안에 있는 감각적인 지각을 통해서 자극을 받음으로써, 다시 이에아의 세계를 회상할 수 있을 뿐이라는 것이다. 우리들은 이러한 순수한 사상을 이제사 겨우, 애써 얻은 것도 아니며, 우리들의 감각적인 경험을 바탕으로 해서 얻는 것도 아닐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