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의 연속 동사 구성 연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21 15:08
본문
Download : 국어의 연속 동사 구성 연구.hwp
2.1. 외국어의 연속 동사에 관한 연구
2.1.1. 고전적 접근
연속 동사 현상에 대하여 최초로 언급한 책은 Christaller(1875)의 트위(Twi)어에 대한 문법서이다. 보조 동사 구성의 연구에서 보조 동사 구문의 구조나 통사적 현상에 대한 연구가 집중적으로 이루어졌고 ‘-어’와 ‘-고’에 대한 것은 따로 다루어지지 않았다.
Download : 국어의 연속 동사 구성 연구.hwp( 61 )
본고는 최근에 활발하게 논의되고 있는 연속 동사 구성(Serial Verbs Construction:SVC)에 대하여 국어에도 연속 동사 구성으로 불릴 수 있는 형태가 존재하는지를 검토하고 국어에 연속 동사 구성이 있다면 어떠한 부류가 연속 동사 구성에 속할 수 있는지를 고찰한다. 즉 이 연구는 국어의 연속 동사 구성의 존재를 확인하고 그 통사·의미적 특징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 연구에서 트위 어의 연속 동사를 5개 유형의 ‘동사 결합(verbal combinations)’으로 구분했는데, 현재까지도 ‘연속 동사’로 간주되는 모든 연속 동사를 그의 문법서에 포함하고 있었다. ‘단순문의 대등 부분(Coordinate parts of simple sentences)’을 다루는 절에서 그는 ‘결합’을 ‘본질적(essential) 결합’과 ‘우연적(accidental) 결합’으로 구분했다. 합성 동사의 논의에서는 합성 동사와 통사적 구를 구별하는 기준과 합성 동사의 목록을 작성하는 작업을 수행하였다. 그리고 국어의 연속 동사 구성은 어떠한 통사·의미적 특징들을 가지는지에 대하여도 고찰한다.
본장에서는 외국어에 대한 연속 동사의 연구들을 고전적 접근과 변형적 접근, 비-변형적 접근, history(역사) 적 접근으로 나누어 각각에 속하는 업적들을 시대순으로 살펴보고 국어에 대한 연속 동사의 논의들을 요점하여 지금까지의 연속 동사에 대한 연구의 개략적인 동향을 요점하고자 한다. 또한 국어에 대한 연속 동사 구성의 논의에서 ‘-어’의 처리를 위하여 고심한 흔적이 보이는데, 이에 대하여도 이미 ‘-어’와 ‘-고’의 대비를 통한 연구가 Ramstedt(1939)와 최현배(1959)에서 이루어졌고 이후에도 이에 대한 연구가 계속 진행되어 상당한 연구의 성과가 임홍빈(1975)로 나타났다. 접속문을 다룬 연구들은 국어의 다양한 접속 어미들을 분류하고 대등 접속과 종속 접속을 구별하는 작업이 이루어졌다. 본질적 결합은 선행 동사가 본동사이고 후행 동사는 보조적으로 시간과 방법의 …(To be continued )
설명
순서
레포트/인문사회
,인문사회,레포트
다. 또한 다양한 접속 어미에 대한 개별적인 의미와 기능에 대한 연구들도 많이 이루어졌다. , 국어의 연속 동사 구성 연구인문사회레포트 ,
제1장 서론
1.1. 연구의 목적
1.2. 논의의 구성
제2장 연속 동사에 관한 theory(이론)적 연구
2.0. 도입
2.1. 외국어의 연속 동사에 관한 연구
2.2. 국어의 연속 동사에 관한 연구
2.3. 요약
제3장 국어 연속 동사 구성의 특징
3.0. 도입
3.1. 외현적 단일 주어 현상
3.2. 주어 공유 현상과 목적어 공유 현상
3.3. 동일 시제성과 단일 시제성
3.4. 동시성, 계기성과 반복성
3.5. 부definition 전체성
3.6. 동일절 조건
3.7. 연속 동사의 계층성
3.8. 요약
제4장 연속 동사의 component 구조와 component 구조 유형
4.0. 도입
4.1. ‘-어’와 ‘-고’의 의미 기능
4.2. 단일절의 기저와 이중절의 기저
4.3. 연속 동사의 component 구조
4.4. 연속 동사의 component 구조의 유형
4.5. 요약
제5장 접속과 연속 동사
5.0. 도입
5.1. 접속과 연속 동사
5.2. ‘-어’ 접속의 component 구조
5.3. ‘-고’ 접속
5.4. 요약
제6장 보조 동사와 연속 동사
6.0. 도입
6.1. 보조 동사와 연속 동사
6.2. ‘V1어 V2’ 보조 동사 구문과 연속 동사
6.3. ‘V1고 V2’ 보조 동사 구문과 연속 동사: ‘있다’ 보조 동사
6.4. 보조 동사 구성과 접속 구성의 연속 동사의 비교
6.5. 요약
제7장 합성 동사와 연속 동사
7.0. 도입
7.1. 합성 동사와 연속 동사
7.2. ‘-어-’합성 동사와 연속 동사
7.3. ‘-고’ 합성 동사와 연속 동사
7.4. 다른 구성의 연속 동사와 합성 동사의 연속 동사의 비교
7.5. 요약
제8장 conclusion
국어의 문법서들에서 거의가 언급되었던 문장들이다. 즉 이 연구는 국어의 연속 동사 구성의 존재를 확인하고 그 통사·의미적 특징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국어의 연속 동사 구성은 어떠한 통사·의미적 특징들을 가지는지에 대하여도 고찰한다.






국어의 연속 동사 구성 연구
본고는 최근에 활발하게 논의되고 있는 연속 동사 구성(Serial Verbs Construction:SVC)에 대하여 국어에도 연속 동사 구성으로 불릴 수 있는 형태가 존재하는지를 검토하고 국어에 연속 동사 구성이 있다면 어떠한 부류가 연속 동사 구성에 속할 수 있는지를 고찰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