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황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21 21:11본문
Download : ●이황.hwp
자는 경호(景浩), 호는 퇴계(退溪-퇴거계상[退居溪上]의 줄임말)퇴도(退陶)퇴도만은도수(陶), 본관은 진보(眞寶) 혹은 진성(眞城)이며, 시호는 문순(文純)이다.
형은 온계(溫溪) 이해(李瀣)로 이해 역시 학자였으나 을사사화로 희생된다 …(drop)
순서
레포트/인문사회
●이황,인문사회,레포트
●이황
●이황 , ●이황인문사회레포트 , ●이황
설명
Download : ●이황.hwp( 82 )






●이황
다.
생애
생애 초기
퇴계 이황은 1501년 경북 안동부 예안현(오늘날의 안동시 예안면) 온계리(溫溪里)에서 진사(進士) 증 의政府좌찬성 이식과 부인 의성김씨(2남 1녀) 춘천박씨(5남)의 7남 1녀 중 막내로 태어났다. 그가 태어날 때 그의 부모는 태몽을 꾸었는데 이식이 40세 때 진사시에 합격한 해에 어머니의 꿈에 `공자가 대문 안으로 들어오는 꿈을 꾸고` 이황을 낳았다하여 대문을 성림문(聖臨門)이라 일컬었다.
이언적으로부터 계승된 그의 사상은 그의 직제자 김효원(金孝元)이 동인의 당수가 된 이후 동인으로 전달되었으며, 남인으로 이어졌고, 북인 일부에게도 계승된다 소고 박승임, 서애 류성룡 등의 문하생을 배출했는데, 후일 동인이 분당된 뒤 박승임의 제자는 남인 일부와 북인 일부로, 류성룡과 그의 후예들은 남인으로 이어진다. 진사(進士) 증 의政府좌찬성 이식(李埴)의 아들이다. 조선 정치사에서 특히 동인과 남인 계열의 종주이며 일부 북인도 그의 문인들이었다. 그는 안동부사를 지낸 송재 이우의 조카이자 문하생이다. 그러나 그의 아버지는 그가 태어난 지 7개월 만에 마흔 살의 나이로 사망하여, 이황은 홀어머니 춘천박씨 밑에서 자라야 했다. 임진왜란 당시 그의 저서들이 日本(일본)군에게 약탈당했는데, 이때 약탈된 이황의 저서와 작품, 서한, 편지 등은 日本(일본)유학의 발전에 기여하였다. 영남학파의 창시자인 대학자 이언적의 주리론의 effect을 받고 이를 계승하여 집대성시킴으로써 한국을 대표하는 성리학자로 꼽힌다. 사후 이자(李子), 이부자(李夫子)로 존숭되었다.
이황
퇴계이황(李滉, 1502년 1월 3일(1501년 음력 11월 25일) ~ 1571년 1월 3일(1570년 음력 12월 8일))은 조선 중기의 문신, 학자, 교육자, 시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