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기등이식에 관한 법률의 논점과 課題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14 09:03
본문
Download : 장기등이식에 관한 법률의 논점과 과제.hwp
(2) 이식의료기관의 장에 의한 선정
설명
이식대상자의 선정을 기다려서는 이식의 시기를 상실할 현저한 우려가 있는 경우 등 부득이한 사...
(2) 이식의료기관의 장에 의한 선정
이식대상자의 선정을 기다려서는 이식의 시기를 상실할 현저한 우려가 있는 경우 등 부득이한 사유가 있는 경우에는 이식의료기관의 장이 이식대상자를 선정할 수 있다(이식법 제22조 제2항, 前文).
이식의료기관의 장이 이식대상자를 선정할 수 있는 경우는 다음과 같다(이식법 시행령 제18조 제3항). 즉, ① 등록기관의 장이 국립장기이식관리기관의 장에게 장기등기증자의 등록결과 및 신체검사결과를 통보한 때부터 2시간 이내에 국립장기이식관리기관으로부터 이식대상자의 선정결과를 통보받지 못한 경우(장기등기증자가 뇌사자인 경우에 한한다)와 ② 당해 이식의료기관의 장기등이식대기자가 이식대상자로 선정되어 이식할 장기등이 적출된 후 당해 이식대상자가 사망하거나 상태악화 등으로 이식수술이 불가능한 경우이다.
다만, 골수와 각막에 대하여는 이식…(생략(省略))






장기등이식에 관한 법률의 논점과 課題
Download : 장기등이식에 관한 법률의 논점과 과제.hwp( 70 )
,의약보건,레포트
(2) 이식의료기관의 장에 의한 선정 이식대상자의 선정을 기다려서는 이식의 시기를 상실할 현저한 우려가 있는 경우 등 부득이한 사... , 장기등이식에 관한 법률의 논점과 과제의약보건레포트 ,
레포트/의약보건
순서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