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amming Code에 대하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21 04:43본문
Download : Hamming Code에 대하여.hwp
,기타,레포트





HammingCode완결판
순서
설명
1. ECC
주로 네트워크 환경에서 많이 사용되는데, Error Correcting Code의 약자로서 에러정정코드로서, 전송 도중에 에러가 나더라도 그 에러를 고쳐서 올바르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다.
2. 패리티 비트에 관하여..
데이터를 전송할 때에 오류가 나는 것을 피할 수 없는데, 오류가 있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목적으로 만든 코드의 종류 중 하나이다. 주로 에러검출의 방식은 송신 측에서 보내고자 하는 원래의 정보 이외에 별도로 에러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게 해주는 데이터를 추가해서 보내며 수신 측에서는 그 잉여 데이터를 검사함으로써 에러의 여부를 판단하는데, 패리티체크의 경우 패리티 비트를 이용하여 오류검사를 한다.
패리티 비트만 하여도 여러 가지 방식이 있겠지만 지금 보고서의 주 목적은 해밍코드에 있으므로 가장 기본적인 것만 서술하였다.
기본원리는 ‘1’의 개수가 짝수개가 되어야 한다(XOR값이 0이어야 한다)는 것에 있다
패리티 공간으로 1bit를 두고, 전체 data의 1의 개수가 짝수가 되어야 하므…(省略)
본 자료는 Hamming Code에 대해 정리한 리포트입니다.HammingCode완결판 , Hamming Code에 대하여기타레포트 ,
Download : Hamming Code에 대하여.hwp( 70 )
다. 해밍코드는 ECC의 한 종류이다.
레포트/기타
Hamming Code에 대하여
본 reference(자료)는 Hamming Code에 대해 정리한 리포트입니다. 이 때 오류체크를 위해 따로 1bit의 공간을 마련해 놓는데, 이것을 패리티 비트라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