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oulartspace.or.kr 현대성의 시각체제에 대한 연구 - 원근법과 주체의 시각적 구성을 중심으로 > seoulartspace5 | seoulartspace.or.kr report

현대성의 시각체제에 대한 연구 - 원근법과 주체의 시각적 구성을 중심으로 > seoulartspace5

본문 바로가기

뒤로가기 seoulartspace5

현대성의 시각체제에 대한 연구 - 원근법과 주체의 시각적 구성을 중심으로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09-30 07:04

본문




Download : 현대성의 시각체제에 대한 연구 - 원근법과 주체의 시각적 구성을 중심으로.hwp




,인문사회,레포트

현대성의 시각체제에 대한 연구 - 원근법과 주체의 시각적 구성을 중심으로
레포트/인문사회


이 연구는 현대성의 ‘시각체제’가 가진 구조와 그 변동을 해명하려는 시도이다.



다. , 현대성의 시각체제에 대한 연구 - 원근법과 주체의 시각적 구성을 중심으로인문사회레포트 ,


Download : 현대성의 시각체제에 대한 연구 - 원근법과 주체의 시각적 구성을 중심으로.hwp( 16 )






순서
현대성의%20시각체제에%20대한%20연구%20-%20원근법과%20주체의%20시각적%20구성을%20중심으로_hwp_01.gif 현대성의%20시각체제에%20대한%20연구%20-%20원근법과%20주체의%20시각적%20구성을%20중심으로_hwp_02.gif 현대성의%20시각체제에%20대한%20연구%20-%20원근법과%20주체의%20시각적%20구성을%20중심으로_hwp_03.gif 현대성의%20시각체제에%20대한%20연구%20-%20원근법과%20주체의%20시각적%20구성을%20중심으로_hwp_04.gif 현대성의%20시각체제에%20대한%20연구%20-%20원근법과%20주체의%20시각적%20구성을%20중심으로_hwp_05.gif 현대성의%20시각체제에%20대한%20연구%20-%20원근법과%20주체의%20시각적%20구성을%20중심으로_hwp_06.gif
설명

국문초록

서론 / 1

1. 문제제기 / 1
2. 연구의 배경 / 8
3. 논문의 연구범위와 구성 / 14

제1장. 시각과 주체구성에 대한 이론(理論)적 접근 / 22

1. 시지각의 복합성 / 22
2. 라깡과 주체의 시각적 구성 / 29
(1) 이미지와 동일시 / 29
(2) 눈과 응시의 분열 / 41
3. 시각장의 사회history(역사) 적 구조화 / 54
(1) 시각장과 시각체제 / 55
(2) 가시성의 배치와 담론 / 63
(3) 이미지와 시각 테크놀러지 / 69
[소결] 시각체제의 concept(개념)틀 / 79

제2장. 원근법의 시각장과 주체 / 82

1. 르네상스 시각 文化의 새로움 / 82
(1) 르네상스와 현대성 / 82
(2) 시각의 특권과 기하학의 재발견 / 88
2. 원근법의 창안 / 95
(1) 알베르티의 회화론: 시각 공간의 합리화 / 96
(2) 브루넬레스키의 test(실험) : 소실점의 논증/ 106
3. 원근법과 현대성의 주체 / 117
(1) 원근법의 공간과 주체 / 118
(2) 주체와 대상세계 / 135

제3장. 원근법과 현대성의 사회적 조건 / 157

1. 원근법과 서구 인식론 / 157
(1) 원근법과 시각의 추상화 / 158
(2) 서구 철학의 시각 모델 / 164
2. 원근법과 자본주의 / 180
(1) 르네상스 이탈리아 사회의 합리화 / 180
(2) 소실점 기능의 change(변화): 인간에서 주체로 / 187
3. 원근법과 권력의 응시 / 203
(1) 군주 권력의 응시 / 205
(2) 부르주아 감시 권력의 응시 / 221

제4장. 시각체제의 변동 / 232

1. 일상생활의 change(변화)된 시각경험 / 233
(1) 시공간 경험과 철도여행의 시각경험 / 233
(2) 대도시와 감각의 과부하 / 240
2. 새로운 시각 테크놀러지들의 출현 / 252
(1) 볼거리 장치들과 광학기구들 / 252
(2) 카메라의 충격: 사진과 영화 / 263
[소결] 원근법적 시각양식의 동요 / 282
3. 동요의 극복: 원근법적 코드화 / 286
(1) 사진 / 287
(2) 영화 / 297

結論 / 312

1. 연구결과의 정리(整理) / 312
2. 향후의 연구해결해야할문제 / 321

서지사항 / 325

그러므로 ‘보는 방식’을 문제삼는 것은 한편으로 사회구조의 해명을 목표(goal)로 삼는 사회학의 전통적인 해결해야할문제의 수행을 풍부하게 해 줄 수 있따 예를 들어, 만약 하나의 사회구조를 이념구조와 행위구조 및 실재구조로 이루어진 것으로 파악하고 전자에서 후자의 방향으로 향하는 이념적 통제와 후자에서 전자의 방향으로 향하는 현실적 통제의 상호작용에 의해 존속/발전하는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면(김일철, 1986: 60-80), 文化 및 이데올로기와 결부된 ‘보는 방식’의 해명은 이념구조와 행위구조간의 관계의 복합성을 조명하는 데 일조할 수 있으며, 또한 ‘보는 방식’이 文化 및 이데올로기와의 연관에 의해 지배관계와도 연결된다는 점에서 실재구조에서 발원하는 현실적 통제의 복합성도 조명해 줄 수 있기 때문일것이다
‘보는 방식’의 해명은 다른 한편으로 文化의 연구를 풍부하게 해줄 수 있따 文化의 의미는 다양하지만 갈수록 강조되듯이 文化를 기호와 상징을 가지고 의미를 생산하는 실천, 즉 ‘의미화 실천(signifying practices)’으로 정의(定義)한다면(Williams, 1983: 87-93; Bocock, 1992: 231-234), ‘보는 방식’은 시각적 차원에서 의미화 실천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기 때문일것이다 의미화 실천으로서 文化는 이념구조와 행위구조를 포괄할 것이므로 이 차원은 사회구조의 해명과도 연결된다 더우기 일정하게 주체를 구성한다는 점에서 ‘보는 방식’의 해명은 文化연구에서 더욱 중요해진다. 보는 방식은 사회적이고 歷史(역사)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가시적 세계 속에서 일정한 위치, 즉 시점을 부여함으로써 개인을 ‘보는 주체’로 구성한다. 필자는 여기서 시각체제를 특정한 하나의 ‘보는 방식’이 다른 것들을 지배하면서 자연스러운 시각으로 통용되는, 사회歷史(역사)적으로 구조화된 시각의 장으로 定義(정의)하였다. 의미화의 실천은 그 실천의 담당자인 듯이 나타나는 주체의 문제를 상정하지 않을 수 없기 때문이다(Silverman, 1983; Coward & Ellis, 1977). 의미화 실천에 의한 주체 구성 문제는 시각적 차원에서도 일찍이 커뮤니케이션 연구에서 주목됨으로써 텍스트의 의미구성 뿐만 아니라 수용자 문제에 초점을 맞추는 연구 경향을 형성하기도 하였다. 보는 방식은 사회적이고 역사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가시적 세계 속에서 일정한 위치, 즉 시점을 부여함으로써 개인을 ‘보는 주체’로 구성한다. 필자는 여기서 시각체제를 특정한 하나의 ‘보는 방식’이 다른 것들을 지배하면서 자연스러운 시각으로 통용되는, 사회역사적으로 구조화된 시각의 장으로 정의하였다. 17세기 이래 서구 문명에서는 르네상스 이탈리아에서 창안된 원근법이 지배적인 보는 방식으로서 특정한 시각체제를 형성해왔다. 이런 맥락에서 이미지 해독의 차원 뿐 아니라 ‘보는 방식’ 자체를 부각시키는 것은 시각 텍스트와 수용자의 관계를 해명하는 …(투비컨티뉴드 )





이 연구는 현대성의 ‘시각체제’가 가진 구조와 그 변동을 해명하려는 시도이다. 17세기 이래 서구 문명에서는 르네상스 이탈리아에서 창안된 원근법이 지배적인 보는 방식으로서 특정한 시각체제를 형성해왔다.
전체 12,273건 1 페이지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evga.co.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 seoulartspace.or.kr.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