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성보건실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23 06:26
본문
Download : 모성보건실.hwp
- 태아의 움직임을 모니터한다.
- 구강의 자극이나 상처여부를 확인한다.
- 가능하면 이상을 격려하거나 자주 자세를 변경한다.
- 매일 체중을 측정(measurement)하여 기록한다.
- 만일 오랜기간 구강섭취를 할 수 없다면 기초식품(TPN)을 제공한다.
- 초음파와 같은 진단검사의 목적을 설명(說明)하고 준비한다.
* 임신오조증 & 고위험임신
- 전해질 ...
설명
모성보건실
사정결과(사례별 건강문제 및 해결방안)* 임신오조증 & 고위험임신- 구토증이 중지될 때까지 구강섭취를 제한 또는 억제한다.
- 자궁저의 높이 사정으로 태아의 성장을 확인한다.
- 구토물을 포함한 I/O를 기록한다.
① 대상자정보(事例)
G3 - T1 - P0 - A1 - L1의 산과력을 가진 L씨는 첫아기 때 모유수유를 시도했으나 실패했다.
- 침착하고 이완할 수 있는 방법을 설명(說明)한다.
- 전해질 불균형과 저혈량증을 치료하기 위해 정맥 주사를 유지한다.
- Doppler를 이용하여 태아 심음을 측정(measurement)한다.
- 심리적인 지지를 제공한다.
- 가능하다면 점차적으로 물, 미음, 죽, 고형식이 순으로 제공한다.
② 간호문제
모유수유에 대한 지식부족
③ 상담 또는 보건 교육 내용
* 모유수유의 장점(長點)에 대해 설명(說明)
- 아기에게 가장 알맞는 식품
- 대변을 쉽게 보고 탈수를 방지하며 …(省略)
- 구토증이 중지될 때까지 구강섭취를 제한 또는 억제한다.- 전해질 ... , 모성보건실의약보건레포트 ,
레포트/의약보건
순서





사정결과(事例별 건강문제 및 해결방법)
* 임신오조증 & 고위험임신
- 구토증이 중지될 때까지 구강섭취를 제한 또는 억제한다.
,의약보건,레포트
사정결과(事例(사례)별 건강문제 및 해결方案)
Download : 모성보건실.hwp( 45 )
다.
- 구토증이 멈춘 후 물과 마른 음식(예:토스트)을 소량씩 變化(변화)있게 제공한다. 모유도 잘 나오지 않을 뿐 아니라, 아기가 모유를 먹으면 diarrhea를 하니까 Dr.가 모유수유를 중단하라고 했다고 한다.
- 즉시 건강관리자에게 보고해야 할 증상과 징후에 대해 교육한다:
·갑작스런 다량의 질출혈
·현기증
·조산증상: 규칙적인 자궁수축, 계속되는 하복부 동통, 질로부터 수분 배출
·파수
·임신성 고혈압: 전신부종, 안면과 손의 부종, 갑작스런 체중증가, 두통, 시력장애, 현기증, 안절부절, 구토, 신경과민, 상복부 동통
·태동의 갑작스런 감소 또는 부재
나. 임산부를 대상으로 상담한 내용이나 보건 교육 내용을 간략히 기술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