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의력결함과 과잉행동 장애아동의 정의적 characteristic(특성) 연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01 06:37
본문
Download : 주의력결함과 과잉행동 장애아동의 정의적 특성 연구.hwp
레포트/의약보건
up주의력결함정의적characteristic(특성)연구
설명






초등학교 고학년 남녀 아동을 대상으로 이들의 주의력결함-과잉행동장애 정도를 조사하여 이들의 정도를 상위, 중위, 하위 수준별로 구분한 다음 학교에서 생활하는 중에 이들의 학업불안, 성취동기, 자아槪念 및 대인관계의 정도를 또한 조사하여 상호 어떠한 관계가 있고, 학년, 성별, 주의력결함-과잉행동장애 수준별에 따라 학업불안, 성취동기, 대인관계, 자아槪念은 어떠한 차이가 있는 지를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Ⅰ. 서 론
1. 연구의 당위성
2. 연구 가설
3. 용어의 定義(정이)
4. 연구의 제한점
Ⅱ. 理論적 배경
1. 주의력결함-과잉행동장애의 特性(특성)
2. 주의력결함-과잉행동장애의 원인(原因)
3. 주의력결함-과잉행동 장애아동의 발달적 特性(특성)
4. 인간행동의 定義(정이)적 特性(특성)
Ⅲ. 연구방법
1. 연구 대상
2. 측정(測定) 도구
3. 수집 절차
4. 처리
Ⅳ. 연구 결과
1. 주의력결함-과잉행동장애의 정도와 定義(정이)적 特性(특성)간의 상관
2. 학년별, 성별, 주의력결함-과잉행동장애 수준별 아동의 定義(정이)적 特性(특성)간의 상호작용
Ⅴ. 논 의
1. 방법의 논의
2. 결과의 논의
Ⅵ. 결 론
주의력결함은 Task 에 직접 관계가 없는 다른 자극에 의해 주의력이 흩어지는 것으로 定義(정이)된다 산만하게 하는 것은 개인의 내부적 자극인 고픔과 같은 것과 외부적인 자극인 벽에 걸린 그림, 연필 등과 같은 것에 대해 집중하지 못하는 심리적 무능으로 인해 주의력결함을 가지는 것이고 장시간 Task 나 일에 몰두하지 못하므로 Task 를 끝마치지 못하는 것이다. 주의산만성의 내용은 주의력 집중 시간이 짧음, Task 를 끝마치기 어려움, 백일몽에 잠기고, 쉽게 산만해 지고, 또래나 다른 사람들이 “얼빠진 애” “몽상가”와 같은 말을 듣기도 하고, 활동은 많지만 성취는 거의 없으며, 열정적으로 일을 처음 은 하지만 끝을 맺지 못하는 면이 있다아
이들 행동 이외에도, 자주 세부 사항들에 세심한 주의를 기울이지 못하거나 학교 Task , 작업 또는 기타 활동에서 부주의한 실수를 저지르고, Task 나 놀이 활동에서 지속적으로 주의 집중하는 데 어려움을 자주 겪으며, 자주 다른 사람의 말을 귀담아 듣지 않는 것처럼 보인다. up주의력결함정의적특성연구 , 주의력결함과 과잉행동 장애아동의 정의적 특성 연구의약보건레포트 ,
,의약보건,레포트
순서
주의력결함과 과잉행동 장애아동의 정의적 characteristic(특성) 연구
Download : 주의력결함과 과잉행동 장애아동의 정의적 특성 연구.hwp( 90 )
다. 정신 장애 진단 및 통계 편람 제4판의 개정판 (1994)은 과잉행동 또한 주의력결함장애와 함께 중요한 요인이라고 지적하였으며, Barkley et al. (1991), Lahey와 Carlson 등 (1987), Schaughency 등 (1989)은 과잉행동을 수반하거나 수반하지 않는 아동들을 비교해 보면, 과잉행동을 수반하지 않은 주의력결함 장애아동들은 품행 문제가 덜 심각하고 덜 충동적이지만, 더 활기가 없고 동작이 느린 특징이 있으며, 우울한 기분과 불안장애의 증후를 더 보이…(생략(省略))
초등학교 고학년 남녀 아동을 대상으로 이들의 주의력결함-과잉행동장애 정도를 조사하여 이들의 정도를 상위, 중위, 하위 수준별로 구분한 다음 학교에서 생활하는 중에 이들의 학업불안, 성취동기, 자아개념 및 대인관계의 정도를 또한 조사하여 상호 어떠한 관계가 있고, 학년, 성별, 주의력결함-과잉행동장애 수준별에 따라 학업불안, 성취동기, 대인관계, 자아개념은 어떠한 차이가 있는 지를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그리고 가끔 Task 와 활동들을 조직하는 데 어려움을 가지고, 지속적으로 정신적 노력을 요하는 Task 들을 피하거나 강경하게 싫어하며, Task 수행이나 활동에 필요한 물건들을 잃어버리기도 하는 특징들이 있다아
나. 과잉행동 장애
Silver (1990)는 과잉행동적 아동을 과잉운동적 반응이라는 용어로서 장애의 特性(특성)은 과잉적 행동, 침착하지 못함, 주의산만함 그리고 짧은 주의 집중이라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