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실과 비 현실의 경계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23 02:48
본문
Download : 현실과 비 현실의 경계.hwp
서초동, 광화문, 신촌, 정릉. 이 지명은 단순히 지명이기도 하지만 우리는 이 지명을 떠올리며 어떤 분위기를 동시에 떠올리게 된다 신촌에서는 자연스러우나 정릉에서는 부자연스러운 그 무엇이 있기 때문일것이다 강남과 강북과 강서, 그리고 시내 중심가. 서울 안에서 골고루 분배되어 있따 가끔 진희와 현석은 경기도 주변으로 드라이브를 가기도 하지만 그 역시 이미 서울이라는 테두리를 전제하고 이루어지는 행위이다.
설명






Download : 현실과 비 현실의 경계.hwp( 58 )
현실과 비 현실의 경계
,감상서평,레포트
`마지막 춤은 나와 함께`는 지극히 현실 적이다.(황종연-동국대 교수)
주인공 진희의 생활반경, 이를테면 서초동에 있는 아파트, 종태를 만나러 가는 광화문, 상현을 기다리는 신촌, 현석이 살고 있는 정릉. 그리고, 재임용에서 떨어지게 될지 모르는 교수생활, 학과장과 주변 교수와의 마찰. 지극히 현실적이다. 심리적 착종에서 빚어지는 매혹적인 광경이 인간의 현실, 바로 거기에 있다는 것을 깨닫게 한다.... , 현실과 비 현실의 경계감상서평레포트 ,
레포트/감상서평
순서
다. 심리적 착종에서 빚어지는 매혹적인 광경이 인간의 현실, 바로 거기에 있다는 것을 깨닫게 한다. 진희는 넘어져도 울지 않고 발딱 일어나 아무렇지도 않은 척 다시 걸어가는 아이처럼 독하게 살아가는…(To be continued )
`마지막 춤은 나와 함께`는 지극히 현실 적이다. 타인에게 무언가를 받기보다는 타인이 원하는 무언가를 해 줌으로써 관계를 만들고 유지시켜 나가는 것이 진희의 방식이다. 주간지의 기자이면서 이벤트 적인 연애를 즐기는 종태는 진희에게 있어 가장 부담 없는 애인이다....
`마지막 춤은 나와 함께`는 지극히 현실 적이다. 심리적 착종에서 빚어지는 매혹적인 광경이 인간의 현실, 바로 거기에 있다는 것을 깨닫게 한다. 현석은 지식인 남성의 대표 격으로 묘사된다 이따금 벌어지는 논쟁에서 진희는 한 발자국 물러서서 적절히 대처한다. 현석의 지성을 높이 평가하고 칭찬하는 것 또한 게을리 하지 않는다. 독자는 소설을 읽으면서 지명이 나오고 또 알 듯 모를 듯, 지나치다가 보았던 것 같은 까페가 나오면 그 거리를 떠올리게 된다 전혀 알지 못하는 거리를 배경으로 한 것보다는 좀 더 소설에 몰임 하게 되고 소설은 독자에게 그만큼 친절하게 된다
종태와 현석 이라는 인물도 매우 현실적이다. `새의 선물`에서 12살에 이미 성장을 l춰 버린 진희가 이제는 30대 중반의 여성이 되어 어쩌면 그 때 그대로 멈춰버린 상태로 호의롭지 못한 세상에 부딪치며 살아가고 있는 모습일지도 모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