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체가 - 한림별곡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11 23:10본문
Download : 경기체가 - 한림별곡.hwp
또한 (카)·(타)는 포괄중의 개별이라 할 수 있고, 마지막 행의 「위 ……경 긔 엇더니잇고」는 작품의 결말을 이루는 포괄중의 포괄이 된다고 했다. 그리고 감탄사로 표현되는 감격은 무엇보다 포괄적인 것의 발견에서 이루어지며, 포괄적인 의미에 도달하는 결과에 관심을 집중하게 한다고 보았다.
2.5 표현 특징 및 미의식
「위 ……경 긔 엇더니잇고」는 경기체가를 경기체가답게 하는 구절로 그 기능을 면밀히 검토해 볼 필요가 있따 이에 상대하여는 조동일의 견해가 주목된다 그에 의하면 위(위, 위)라는 감탄사는 개별적인 사물을 열거하는 대목이 끝나고 포괄적인 말이 나타나게 되었음을 알려주는 구실을 하며, 개별적인 대목과 포괄적인 대목의 혼동을 막아줄 뿐 아니라 포괄적인 대목을 한층 더 돋보이게 해서 개별과 포괄의 양립에 의한 대립적 구조를 선명하게 해준다는 것이다.설명
,인문사회,레포트
한림별곡






경기체가 - 한림별곡에 대한 글입니다.
경기체가 - 한림별곡
Download : 경기체가 - 한림별곡.hwp( 88 )
순서
경기체가는 위와 같은 장(연)의 연속인데, (가)에서 (자)까지와 (카)·(타)에서는 개별화의 원리에 따라 열거된 세계상이 나타나고, (차)에서는 (가)에서 (자)까지 개별적인 것으로 제시된 사물들을 하나의 종합적 concept(개념)으로 묶는 포괄적 concept(개념)이, (파)에서는 (카)·(타)를 포괄하는 concept(개념)이 나타나나는 것이다. 그리고 개별화와 포괄화의 원리는 작품의 대립적 구조를 형성하는 데 기여한다고 보았다. 즉, (가)에서 (자)까지의 개별화와 (차)에서의 포괄화, (카)·(타)에서의 개별화와 (파)에서의 포괄화 사이에는 명백한 대립이 있어 작품구조가 의미의 긴장을 갖도록 하는 데 결정적인 구실을 한다고 본 것이다.
한편 「……경」의 기능은 그 앞에 붙어 있는 concept(개념)어를 말 그대로의 의미로 끝나게 하지 않고 시선을 끌 수 있는 광경 또는 경치로 전화시킴으로써 무심히 받아들일 수 있었던 것이라도 적극적 관심의 대상이 되도록 하는 역할을 담당하며, 그 뒤에 「긔 엇더니잇고」라는 말이 첨가됨으로써 「……경」이라고 제시된 것에 상대하여 다시 주의를 집중시키게 된다는 것이…(省略)
레포트/인문사회
경기체가 - 한림별곡에 대한 글입니다.한림별곡 , 경기체가 - 한림별곡인문사회레포트 ,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