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마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28 01:18
본문
Download : 새.hwp
원래는 왕정 체제로 군사적·종교적 권력을 가진 군주가 다스렸으나, 뒤에는 왕 대신 행정관을 선출했는데 이때부터 강력한 명문 가문과 성직자들이 지배하는 과두(寡頭) 공화정이 세워졌다. 그들의 언어는 일찍 사멸했으나 문자가 쓰인 유물이 남아 전하기도 한다.
The Roman Emperors : Barry Baldwin, 1980
로마제국(라이프 인간세계사 3) : 모리스 해더스, 타임라이프 편집부 역, 한국일보타임라이프, 1978
고대이탈리아 로마사 로마 고대로마 / 로마제국쇠망사 전9권 : E. 기번, 김영진 역, 대광서림, 1990-93 로마는 왜 멸망했는가 : 유게도루, 양흥모 역, 교문사, 1991 1991 : 카이사르, 박광순 역, 범우사, 1990 로마제국(라이프 인간세계사 3) : 모리스 해더스, 타임라이프 편집부 역, 한국일보타임라이프, 1978 The Roman Empire:27B. C. -A. D. 476 : Chester G. Starr, 1982 The Roman Emperors : Barry Baldwin, 1980 From Tiberius to Antonines:A History of the Roman Empire, A. D. 14-192 : Albino Garztti, J. R. Foster (trans.), Methuen, 1974 Later Roman Empire, 284-602:A Social, Economic and Administrative Surveys, 4 vol. : Arnold H. M. Jones, Basil Blackwell, 1964 History of the Later Roman Empire from the Death of Theodosius Ⅰ to the Death of Justinian, 2 vol. : J. B. Bury, Dover, 1958 ()
1. 개요
2. 로마 이전의 이탈리아
Later Roman Empire, 284-602:A Social, Economic and Administrative Surveys, 4 vol. : Arnold H. M. Jones, Basil Blackwell, 1964
1991 : 카이사르, 박광순 역, 범우사, 1990
4. 서지사항 에트루리아족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3. 고대 로마
로마사
From Tiberius to Antonines:A History of the Roman Empire, A. D. 14-192 : Albino Garztti, J. R. Foster (trans.), Methuen, 1974
다. 문자는 알파벳으로 되어 쉽게 읽을 수는 있지만 뜻과 문법이 어려워 아직도 해독할 수 없으며, 다만 인도유럽어와 아주 다르다는 것이 확인되었을 뿐이다. 에트루리아 문명에서 가장 눈에 띄는 부분은 종교와 장례(葬禮)이다.
Download : 새.hwp( 24 )
설명
순서
고대이탈리아 로마사 로마 고대로마
고대이탈리아 로마사 로마 고대로마 / 로마제국쇠망사 전9권 : E. 기번, 김영진 역, 대광서림, 1990-93
History of the Later Roman Empire from the Death of Theodosius Ⅰ to the Death of Justinian, 2 vol. : J. B. Bury, Dover, 1958 ()
The Roman Empire:27B. C. -A. D. 476 : Chester G. Starr, 1982
로마는 왜 멸망했는가 : 유게도루, 양흥모 역, 교문사, 1991





에트루리아족의 기원에 대하여는 그들이 리디아나 에게 해 방면의 동쪽지방에서 이탈리아로 옮겨왔다는 설과 북방에서 내려왔다는 설, 토착민이었다는 설 등 여러 학설이 제기되어왔으나 오늘날에는 대체로 이들 에트루리아족이 BC 10세기에 형성되었다는 사실에는 이견이 없다. 에트루리아족은 다신교를 믿었으며 모든 중요한 행위를 하기에 앞서 신의 뜻을 물었고, 죽은 사람은 묻힌 곳에서 계속 살아간다고 여겼기 때문에 집 모양의 무덤을 만들고 여러 껴묻거리[副葬品]를 함께 묻었다. 그들의 정치 형태는 도시국가에 바탕을 두고 각기 독립되어 있었으나 일종의 종교·경제 연맹을 맺고 있었다. 그러나 북중부에서는 화장하는 풍습이 계속 남아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