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장력강의 합금원소와 강화기구 그리고 TMCP강 그리고 조직비율구하기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21 00:50본문
Download : 고장력강의 합금원소와 강화기구 그리고 TMCP강 그리고 조직비율구하기.ppt
고장력강의 합금원소와 강화기구 그리고 TMCP강 그리고 조직비율구하기
요즘 새로이 나오는 TMCP강에 대한 내용과 사진이 첨부되어 있구요
철강report(최종)
먼저 고장력 강이란 탄소강의 기본component인 Si, Mn의 첨가량을 증가하거나
필요에 따라 소량의 합금원소를 첨가한 것으로, 인장강도가 500Mpa 이상,
내력 300Mpa 이상이며 대형화된 구조물의 경량화, 생자재화 및 용접성
향상을 목적으로 한다. 최근 기계 구조물의 대형화와 용접구조화에 따른
높은 강도 및 용접성이 우수한 구조용 강이 요구되면서, 여러 가지 고장력
강이 대량으로 생산되고 있다아
TMCP강
일반적으로 강재의 인장강도가 커질수록 탄소함유량이 많아진다. 탄소의
함량이 많다는 것은 취성적인 성질을 가지게 되어 열에 약한 characteristic(특성)을 가지게
되어 용접성이 떨어지게 된다된다.요즘 새로이 나오는 TMCP강에 대한 내용과 사진이 첨부되어 있구요깔끔합니다 ^^철강레포트(최종) , 고장력강의 합금원소와 강화기구 그리고 TMCP강 그리고 조직비율구하기공학기술레포트 ,
순서






,공학기술,레포트
설명
Download : 고장력강의 합금원소와 강화기구 그리고 TMCP강 그리고 조직비율구하기.ppt( 60 )
다. 현재 POSCO의 강재분야는 HPS(High Performance Steel) 즉
고성능강의 연구에 집중하고 있다아 현재 대두되고 있는 것은 앞에서 언급한
TMCP강과 SN(Steel New StRUCTURE)강이 있다아 이들은 기존 강재의 단점을
보완하고 강재의 물리적 characteristic(특성), 용접성, 시공성 등…(省略)
레포트/공학기술
고장력강에 대한 리포트입니다.
깔끔합니다 ^^
고장력강에 대한 리포트입니다. 그런데 TMCP강은 탄소함량이 낮음에도 불구
하고 높은 인장강도를 발휘하고 낮은 탄소당량으로 용접성을 改善(개선) 하고 강재
의 두께가 증가하더라도 항복강도의 저하가 없도록 강재의 characteristic(특성)을 향상시킨
재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