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상 메모리(Virtual Memory) 관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14 14:52본문
Download : 운영체제-8장.hwp
즉, 프로세스는 수행과정 동안 스와핑에 의해 메모리의 다른 영역에 존재한다. => 가상 메모리 개념(槪念)의 등장 (2) 가상 메모리의 정이 : 페이지라는 고정된 크기나 세그먼트라는 가변크기로 프로세스와 주기억장치를 분할하여 프로세스 전체가 기억장치에 존재하지 않고 현재 사용되는 호로그램의 일부분만 주기억장치에 존재하고 나머지는 보조기억장치에 두는 방법 (3) 가상 메모리의 수행과정 ① 운영체제는 프로세스의 상주집합(resident set)을 가지고 호로그램을 수행 ② 처리기는 페이지나 세그먼트 테이블을 가지고…(To be continued )
설명
1. 가상 메모리의 정의 , 2. 가상메모리 페이징(virtual memory paging), 3. 가상 메모리 세그멘테이션(virtual segmentation), 4. 페이징과 세그멘테이션의 혼합, , , , 자료를내려받다 : 123K
페이징,세그멘테이션,가상메모리,공학기술,레포트
Download : 운영체제-8장.hwp( 50 )
1. 가상 메모리의 개념, 2. 가상메모리 페이징(virtual memory paging), 3. 가상 메모리 세그멘테이션(virtual segmentation), 4. 페이징과 세그멘테이션의 혼합, , , , FileSize : 123K , 가상 메모리(Virtual Memory) 관리공학기술레포트 , 페이징 세그멘테이션 가상메모리
다. => 위의 두 가지 特性이 만족되면 수행시간동안 한 프로세스의 모든 페이지나 세그먼트가 메모리에 존재할 필요는 없다. ② 프로세스는 페이지나 세그먼트의 여러 작은 조각으로 나누어지고, 페이지나 세그먼트 테이블을 사용함으로써 수행하는 동안 메모리에 연속적인 공간을 차지할 필요는 없다.순서
레포트/공학기술
가상 메모리(Virtual Memory) 관리






1. 가상 메모리의 개념(槪念)
2. 가상메모리 페이징(virtual memory paging)
3. 가상 메모리 세그멘테이션(virtual segmentation)
4. 페이징과 세그멘테이션의 혼합
(1) 페이징과 세그멘테이션의 特性 ① 프로세스의 메모리 참조는 실행시간에 물리적 주소로 변환되는 논리적 주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