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경계 진단적 검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14 02:09본문
Download : 신경계 진단적 검사.hwp
두개골에는 여러 가지 작은 구멍이 있으며 이곳을 통해 뇌신경과 혈관이 지나가고 있다
뇌는 대뇌, 소뇌 및 뇌간으로 나뉜다. 척수는 두개골의 기저부위에 위치한 대후두공을 통과하여 내려간다. 척추는 강력한 인대에 의해 결합되어 있으며, 진성 관절강에 의해 척추가 분리되고 있…(drop)
신경계 진단적 검사에 대해 설명(說明)하고 있다.신경검사 , 신경계 진단적 검사의약보건레포트 ,
신경계 진단적 검사
순서
레포트/의약보건






다. 척추는 경추, 흉추, 요추, 천골, 미골로 구성된다 2개의 척추 사이의 구멍을 추공이라고 부르며, 추공을 통하여 청수신경이 척수로부터 분지되어 나간다. 대뇌는 뇌에서 가장 큰 영역으로서 2개의 대뇌반구로 분류되며, 각 대뇌반구는 5개의 엽으로 구성된다 전두엽은 대뇌의 전면에 위치하며 정상적 반응, 태도, 사고과정 등을 담당한다.
소뇌는 대뇌의 후두엽 아래에 위치한다.
설명
1. 해부생리
신경계는 일반적으로 다음 3가지 영역으로 분류된다
1) 뇌와 척수를 구성하는 중추신경계
2) 뇌신경과 척추신경을 포함하는 말초신경계
3) 교감신경과 부교감 신경으로 이루어진 자율신경계
뇌는 두개골로 둘러싸여 보호받고 있으며 두개골은 전두골, 두정공, 후두골, 척두골 등 여러 개의 뼈로 구성되었다. 제4뇌실내의 뇌척수액은 지주막하강으로 흘러나간다. 측두엽은 전두엽과 두정엽의 옆쪽 아래 부위에 위치하며 청각중추를 포함하고 있다 각 대뇌반구의 뒤쪽에는 후두엽이 위피하며, 이곳은 주로 시각과 관련이 있다 대뇌의 뇌척수액으로 채워진 공간을 뇌실이라고 부른다.
척추는 뇌를 지지해부며, 척추 안에 위치하고 있는 척수를 보호한다. 뇌척수액은 2개의 커다란 측뇌실에서 중심부의 작은 제3뇌실로 흘러간 뒤 뇌간에 위피한 제4뇌실로 나간다. 두정엽은 정중앙에 위치하며 통증 및 온도 와 같은 체성감각과 연관된 신경을 포함한다. 소뇌는 소뇌천막에 의해 대뇌와 분리되어 있으며 운동, 평형감각 및 자세를 조절하는데 관여하고 있다 뇌간은 대뇌반구로부터 척수로 이어지는 대후두공까지 연장된 부위로서 중뇌, 교, 및 연수로 구성된다 뇌간은 호흡, 심박동수, 혈압 및 의식을 신경학적으로 조절한다.
,의약보건,레포트
신경검사
Download : 신경계 진단적 검사.hwp( 16 )
신경계 진단적 검사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