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와 사회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31 15:45본문
Download : 언어와 사회_2034808.hwp
레포트/인문사회
친족어휘와 금기어, 완곡어법, 관용어와 속담에 상대하여 설명했습니다.
`어떤 금기담의 형식을 갖고 있는 문장이 금기담인지 아닌지는 행위 금지의 표현이 가능한가 아닌가에 있다는 점을 주장하고 싶다.`로 풀이되므로 금기어에 포함시킬 수 있다고 하였다.
②에 해당되는 예
주머니가 비면 자기 아내 배 곯린다.
언어와사회
언어와 사회
Download : 언어와 사회_2034808.hwp( 78 )
1> 친족어휘--------------------------1
2> 금기어----------------------------3
3> 완곡어----------------------------8
4> 관용어----------------------------9
5> 속담과 文化(culture) ----------------------16
6> 은어와 비속어--------------------26
7> 한자어---------------------------31
2> 금기(禁忌)와 금기어(禁忌語)
금기(taboo)는 신성시되거나 추악시되는 사람, 사물, 장소, 행위, 언어 등에 관하여 말하거나 접근하거나 만지거나 하는 행위를 금하고 꺼려하는 것을 말한다. 금기어는 근본적으로 예방 가능성의 여부보다 심리적 기휘(忌諱;꺼리고 싫어함)가 본질이기 때문일것이다
이석재는 금기어의 판단 기준에 관하여 다음과 같이 말하였다.
머리에 이가 많으면 궁하다.
심재기의 판단 기준에서 ,금기의 방법이 없다고 하여 `강변에서 멧새가 울면 사람이 죽는다.
①에 해당되는 예
강변에서 멧새가 울면 사람이 죽는다.`와 같은 것을 금기어에서 제외하는 것은 재고되어야 한다고 본다.`는 관상학적 발언이므로 일차적으로는 금기어에 넣을 수 없다고 하였고,`주머니가 비면 자기 아내 배 곯린다.`와 같은 것을 제외하거나, 불가항력이라하여 `꿈에 어린애를 안으면 재수없다.
③에 해당되는 예
꿈에 어린애를 안으면 재수 없다.
꿈에 똥을 만지면 운이 트인다.
단옷날에 비가 오면 흉년이 든다.언어와사회 , 언어와 사회인문사회레포트 ,
,인문사회,레포트
순서
다.
금기어의 판단 기준
심재기는 금기어의 판단 기준으로서 다음 세 가지를 들었다.`는 `가난을 피하라.`는 금기적 성격이 드러나고,`머리에 이가 많으면 궁하다.`
이석재의 이 기준에 따라서,`가슴이 새 가슴이면 병이 잦다.`도 `부지런하지 않으면 궁해진다. 이에 비하여 금기어는 금하거나 꺼리는 내용이 문장(Sentence)으로 표현되어 구전되어 온 말이다.
① 금기의 대상과 금기 방법의 유무
② 당연한 사실의 서술
③ 꿈의 해몽에 관한 문장
이 기준에 해당하는 예를 제시한 것 중에서 몇 개씩만 뽑아 보이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이 견해에도 수궁하기 어려운 점이 있다 `가난을 피하라.`와…(skip)
설명






친족어휘와 금기어, 완곡어법, 관용어와 속담에 대해서 설명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