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oulartspace.or.kr 소설의 서술태도 > seoulartspace3 | seoulartspace.or.kr report

소설의 서술태도 > seoulartspace3

본문 바로가기

뒤로가기 seoulartspace3

소설의 서술태도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13 09:30

본문




Download : 소설의 서술태도.hwp




19세기 이전부터 관심을 끌던 분야로, 헨리 제임스의 [소설의 기술(The Art of the Novel)]과 러벅…(To be continued )
,감상서평,레포트
소설의서술태도

설명
소설의 서술태도


순서

Download : 소설의 서술태도.hwp( 72 )



소설의%20서술태도_hwp_01.gif 소설의%20서술태도_hwp_02.gif 소설의%20서술태도_hwp_03.gif 소설의%20서술태도_hwp_04.gif 소설의%20서술태도_hwp_05.gif 소설의%20서술태도_hwp_06.gif

소설의서술태도 , 소설의 서술태도감상서평레포트 ,




다.






레포트/감상서평


C.브룩스와 R.P.워렌은 그들의 ꡔ소설의 이해ꡕ에서 ‘서술의 초점’과 ‘시점’을 동일하게 해석, 다음과 같은 네 개의 항으로 된 분류방식을 제안했다. 작품을 작가의 의도와 독자의 감동으로부터 분리하여 그 자체의 유기적 구성관계를 살피기에 논의의 대상은 작가가 사라지고 남은 공간에 들어선 예술의 형식 그 자체였기 때문이다

시점(視點, Point of view) 서사 문학의 요체는 이야기의 제시이기 때문에 이야기의 전달자(서술자 또는 화자)가 있어야만 한다.

그러나 이는 오직 수직축의 경계선만이 시점(내적이건 외적이건), 즉 ‘바라보는 사람이 누구냐’의 문제와 관련이 있고 수평축의 경계선은 태, 즉 ‘나레이터가 누구냐’의 문제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1)과 (2), 그리고 (3)과 (4) 사이의 구분은 가능하지만 (1)과 (3), 그리고 (2)와 (4) 사이의 분류는 시점 상의 참다운 차이점이 없다고 한다.
P.러보크나 C.브룩스와 R.P.워렌은 형식주의에 입각하여 작품 자체의 내적 질서에 중점을 두고 등장인물의 의식을 작가의 개입없이 그대로 드려내려는 것이었다. 서술자가 작품 속의 내용을 바라보는 위치가 시점이다.
전체 11,985건 1 페이지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evga.co.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 seoulartspace.or.kr.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