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하촌」과 「화랑의 후예」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04 19:18
본문
Download : 「사하촌」과 「화랑의 후예」.pptx
「사하촌」과 「화랑의 후예」
Download : 「사하촌」과 「화랑의 후예」.pptx( 73 )
「사하촌」과 「화랑의 후예」 , 「사하촌」과 「화랑의 후예」기타레포트 , 「사하촌」과 「화랑 후예」
순서
「사하촌」과 「화랑의 후예」






_SLIDE_1_
「사하촌」과 「화랑의 후예」
_SLIDE_2_
작가introduction `김정한 / 사하촌`
호 : 요산(樂山).
출생 : 1908년 9월 26일
▶작품세계
초기 : 옥심이(1936), 사하촌(1936) 등 초기 작품에는
항상 절을 배경으로 하고 있다아
중기 : 동래지국장 으로 일하던 `동아일보`가 폐간되자
25년간의 활동중단
말기 : 「모래톱 이야기」(1966), 발표하며 문단복귀.
작가의 현실에 대한 저항 정신과 고발 정신이
뚜렷이 나타나 있다아
_SLIDE_3_
작가introduction `김동리 / 화랑의 후예`
본명 : 김시종
출생 : 1913년 11월 24일
▶작품세계
초기 : 화랑의 후예(1935), 무녀도(1936),
황토기(1939) 등을 발표.
중기 : 일제 말의 암흑기에는 활동중단.
광복과 더불어 역마(1948), 해방(1949)
등을 발표
※ 김동석김병규와의 순수문학논쟁
말기 : 625전쟁 이후, 사반의 십자가(1958) 등
인간과 이념과의 갈등을 조명하는 데 주안을 둠.
_SLIDE_4_
`사하촌` 줄거리
절의 논을 부쳐먹고 사는 가난한 농민들의 기구한 운명을 기록하고 있다아
_SLIDE_5_
`화랑의 후예` 줄거리
현실에 適應(적응)치 못하고 자신의 문벌, 즉 과거에만 연연하는 인물의 이야기를 다루고 있다아
_SLIDE_6_
사하촌
_SLIDE_7_
작품 배경
성동리
소작농
보광리
보광사 스님, 지주
가뭄
단순한 자연재해X
사회적 모순의 문제
_SLIDE_8_
성동리 사람들 모두가 소설의 주인공
-가뭄을 걱정하는 들깨
-억울하게 투옥된 고서방
-절벽에서 떨어져 죽은 상한이와 미쳐버린 가동 늙은이
식민지 하의 비참…(투비컨티뉴드 )
설명
레포트/기타
「사하촌」과,「화랑,후예」,기타,레포트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