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19 23:14
본문
Download : 고려사_2025297.hwp
고려사 , 고려사인문사회레포트 ,
순서






1. 머리말
2. 고려사 편찬과정과 개수의 Cause
3. 편찬자들과 편찬원칙
4. 고려사 구성 및 내용 및 사관
5. 고려사에 대한 평가 및 사료적 가치
6. 맺음말
1. 머리말
고려왕조(918~1392)는 5백여 년간을 장기 지속하면서 조선의 歷史(역사) 전통 만큼의 폭과 깊이를 가졌던 왕조임에도 불구하고, 당대의 직접 기록된 1차적 가 없다는 데서 베일 속에 가려져 왔다. 이전의 어떠한 시대에 비하여서도 이와 같이 많은 사서가 편찬되었다는 것은 이 시대의 한 특징이라고 하여도 좋을 것이다. 여기에서는 『고려사』의 편찬과정과 배경, 편찬자들과 그들에 따른 사관을 비교해 보면서 『고…(skip)
Download : 고려사_2025297.hwp( 68 )
고려사
고려사
레포트/인문사회
다.
,인문사회,레포트
고려사 에 관한 자료 입니다.설명
고려사 에 관한 data(자료) 입니다.
韓永愚, 「15世紀 官撰 史書 편찬의 추이」『朝鮮前期史學史硏究』, 서울대학교출판부, 1981.
歷史(역사) 인식과 서술을 검토하는 데에도 매우 긴요한 로서 일찍부터 학자들의 주목을 받아왔다. 『삼국사기』가 고려중기 귀족의 삼국시대에 대한 이해를 정리(arrangement)해준 것이라고 한다면,『고려사』는 조선 초기 사대부의 전왕조 고려에 대한 이해를 정리(arrangement)해준 것이라고 말할 수 있다 그러므로『고려사』는 조선 초기 조선전기에는 많은 사서가 편찬되었다 고려국사, 고려사, 고려사절요, 동국사략, 감국사절요, 동국통감 등 관찬사서가 적지 않게 편찬되었다. 고려 歷史(역사)에 대한 기본 사료로는 『고려사(高麗史)』와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가 있으나, 이 사료는 모두 조선시대에 편찬된 것이다. 그렇다하더라도, 현존하는 고려시대의 가 부족한 가운데 『고려사』는 고려시대의 연구 중 가장 비중이 있는 歷史(역사)서이며,『삼국사기』와 더불어 우리나라의 2대 정사를 이룰 정도로 중요한 歷史(역사)서이다. 고려 시대 당대에 편찬된 사료에는『삼국사기(三國史記)』와 『삼국유사(三國遺事)』가 있지만, 이는 모두 당대의 歷史(역사)가 아니라 삼국시대의 歷史(역사)서이다. 이 사료들은 안타깝게도 지금은 전하지 않는『고려실록(高麗實錄)』을 토대로 하여 편찬되었기 때문에 이를 편찬하는 과정에서 조선 초기 歷史(역사)가들의 입장이 반영되어 고려시대의 실제 모습이 크게 훼손된 한계를 갖고 있다 『고려사』의 기록을 그대로 따를 경우 조선왕조의 시각에서 歷史(역사)를 평가하게 되어 고려사의 진실을 제대로 파악할 수 없게 된다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