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화기 일본 민간단체 설립 학교 고찰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13 23:56
본문
Download : 개화기 일본 민간단체 설립 학교 고찰.hwp
목 차
Ⅰ. 머리말
Ⅱ. 개화기 외국어교육과 日本(일본)인 설립학교
1. 관립 외국어학교의 전개
2. 종교단체의 외국어교육과 사립학교
3. 日本(일본)인 설립학교
Ⅲ. 日本(일본) 민간단체 설립 학교: 京城學堂을 중심으로
1. 大日本海外敎育會와 京城學堂
2. 경성학당의 설립과 변화
3. 교육목표(goal) 변화와 교사·학생
4
. 경성학당 출신자의 진로
Ⅳ. 맺음말
<참고 문헌>
Ⅰ. 머리말
개화기 우리나라에 설립되는 여러 근대적 성격의 학교들을 설립 주체별로 보면, 관공립과 사립이 있으며, 사립은 또 다시 일반 민간인 설립의 민족계 사학과 서양 선교사 설립의 미션계 사학으로 분류할 수 있따 그러나 개화기 근대 사학에 있어서 새롭게 주목할 것은 日本(일본)인 혹은 日本(일본) 민간단체가 설립한 학교들이다. 그동안 한국교육사에서 이 부분은 그다지 주목받지 못했다. 한국교육사에서 日本(일본)인 설립학교에 관해 언급한 책은 이만규의 『조선교육사』(1949)와 오천석의 『한국신교육사』(1964) 정도에 불과하다.개화기일본민간단체설립학교고찰 , 개화기 일본 민간단체 설립 학교 고찰인문사회레포트 ,
순서
설명
본 reference(자료)는 개화기 일본 민간단체 설립 학교를 고찰한 리포트입니다. 하지만 이나바의 책에서 다루고 있는 ʍ…(To be continued )
개화기 일본 민간단체 설립 학교 고찰
레포트/인문사회






개화기일본민간단체설립학교고찰
본 자료는 개화기 일본 민간단체 설립 학교를 고찰한 리포트입니다.
,인문사회,레포트
Download : 개화기 일본 민간단체 설립 학교 고찰.hwp( 54 )
다. 그러나 최근 들어 日本(일본)인 이나바 쓰기오(稻葉繼雄)는 『旧韓末「日語學校」の硏究』에서, “구한말의 교육을 관공립학교, 민족계 사립학교, 기독교계 사립학교의 세 가지로 파악하고 있는 종래의 구분에 「日語學校」라는 새로운 요소를 가미하고자 한다”고 하여, 종래의 관학과 사학 혹은 사학 중에서도 민족계 사학과 서양 선교사에 의한 기독교계 사학이라는 분류 방법에 문제제기를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