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oulartspace.or.kr 구급방 언해 > seoulartspace6 | seoulartspace.or.kr report

구급방 언해 > seoulartspace6

본문 바로가기

뒤로가기 seoulartspace6

구급방 언해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12 16:20

본문




Download : 구급방 언해.hwp




구급방 언해를 참조하여 만들었으나 구급방 언해에 적절하지 못한 것이 있어 민간에서 병을 고치는데 편리하게 하고자 이 책을 편찬했다.구급방언해 , 구급방 언해생활전문레포트 ,

구급방%20언해_hwp_01.gif 구급방%20언해_hwp_02.gif 구급방%20언해_hwp_03.gif 구급방%20언해_hwp_04.gif 구급방%20언해_hwp_05.gif 구급방%20언해_hwp_06.gif
구급방 언해


설명

다.




Download : 구급방 언해.hwp( 80 )





Ⅰ. 서 론
Ⅱ. <구급방>류의 문헌 검토
Ⅲ. <구급방 언해>의 문헌적 특징
Ⅳ. <구급방 언해>의 국어사적 가치
Ⅴ. 결 론
☆ 출처 ☆

Ⅱ. <구급방>류의 문헌 검토
‘구급방(救急方)’이란 말은 글자 그대로 ‘위급한 경우에 환자를 구하기 위한 방법’을 말하는 것인데, 우리 나라에서 병의 치료 및 예방을 목적으로 출판된 책의 이름에 이런 부류의 명칭이 붙어 있는 것들이 여러 종류 있따 그 중 국어학적으로 가치가 있는 것들만 모아 보면 대체로 다음과 같다.구급방 언해의 문헌적 특징과 국어사적 가치에 대해서 說明(설명) 했습니다. 현전하는 것은 권1,2,3,6,7인데 을해자(…(省略)




순서


,생활전문,레포트
구급방언해

레포트/생활전문
구급방 언해의 문헌적 특징과 국어사적 가치에 대해서 설명했습니다. 이들 고유어는 현존 문헌이 고려판을 복각한 것으로 볼 수 있어, 고려 시대 국어를 연구하는데 귀중한 가 된다

(나) 구급방 언해(救急方諺解)
日本 나고야 호사문고 소장의 상하 2권 2책으로 되어 있으며, 국내에는 상권 1책만 불완전하게 전해지고 있따 세조 12년 1466년 이전에 활판으로 간행되었으나 초간본은 전해지지 않고, 현재 영인되어 있는 것은 초간본을 복각한 목판본으로 한글학회(1975년)와 대제각에서 영인한 책이다.

(가) 향약 구급방(鄕藥救急方)
국내 최초의 현존 의약서로 13세기 대장도감(大藏都監)에서 간행되었으나, 그 책은 전해지지 않고, 조선조 태종 17년(1417)의 중간본이 日本 궁내성(宮內省) 서릉부(書陵部)에 소장되어 있따 중간본에 있는 윤상(尹祥)의 발문에 의하면 고려판이 낡고 책이 보기 힘들어 중간한 것으로 되어 있따 향약으로 위급한 병을 치료하는 방문(方文)을 설명(說明)한 것인데, 본문 여러 곳에 보이는 동식물 이름과 권말 부록 ‘방중 향약 목초부(方中鄕藥目草部)’에 열거된 약 150여 개에 달하는 낱말은 한자 차용 표기법으로 고유어를 적어 놓았다. 원저의 이름은 모두 ‘구급방(救急方)’으로만 되어 있으나 이후 국어학계에서 ‘구급방 언해’라고 관행적으로 부르고 있따

(다) 구급 간이방 언해(救急簡易方諺解)
성종 20년 1489년 9월 왕명에 의해 8권 8책으로 편찬한 책이다.
전체 11,943건 1 페이지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evga.co.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 seoulartspace.or.kr.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