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아제와 비고츠키 理論 비교 설명-방통대 4학년 가정(의상학),교육(교육학, 청소년), 3학년 가정학과(가정관리)-아동발달 A…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15 06:51본문
Download : 피아제와 비고츠키 이론 비교 설명-방통대 4학년 가정(의상학),교육(교육학, 청소년), 3학년 가정학과(가정관리)-아동발달 A형.hwp
오히려 올챙이를…(투비컨티뉴드 )
피아제와 비고츠키 理論 비교 설명-방통대 4학년 가정(의상학),교육(교육학, 청소년), 3학년 가정학과(가정관리)-아동발달 A형
,기타,방송통신
설명
두 理論을 비교하는데 중점을 둔 것입니다. 오늘날의 가장 큰 위험성은 제반 슬로건, 제반 집단적 견해, 기성화 된 사고경향 등이다(Piaget, 1964:5).
위에서 보듯이, 피아제는 교육의 goal(목표) 를 이미 기성화 된 진리나 규칙을 아동들에게 단순히 전달하는 것이 아니라 창조적인 활동을 촉진하고 돕는 과정으로 보았다. 따라서 학교는 백과사전적인 기존 지식을 단순히 전수하는 전통적인 수업방식을 지양하고 아동들에게 기존지식을 비판하고 새로운 지식을 생산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출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
피아제비고츠키
Ⅰ. 서 론
Ⅱ. 피아제의 인지발달theory
1. 인지발달의 토대
(1) 인지구조 : 도식
(2) 인지구조의 구성
2. 인지발달단계
(1) 감각운동기(Sensorimotor period, 0~2세)
(2) 전조작기(Preoperational period, 2~7세)
(3) 구체적 조작기(Concrete operational period, 7~11세)
(4) 형식적 조작기(Formal operational period, 11세 이후)
3. 평 가
4. 피아제 theory 이 교수 · 학습에 주는 시사점
(1) 교육의 goal(목표)
(2) 인지적 갈등상태
(3) 또래와의 사회적 상호작용
(4) 아동의 발달수준에 맞는 교육내용
(5) 학습자의 능동적인 활동
(6) 조력자로서의 교사
Ⅲ. 비고츠키 교수 · 학습theory
1. 언어의 매개와 지식의 구성주의
2. 고등정신기능의 내면화와 근접발달영역
3. 학습과 발달의 상호작용
Ⅳ. 피아제와 비고츠키 theory 의 비교
1. 지식발달의 기제 : 평형화와 내면화
(1) 피아제 : 평형화
(2) 비고츠키 : 내면화
2. 언어와 사고
(1) 피아제 : 사고 중심적 관점
(2) 비고츠키 : 언어 중심적 관점
3. 학습과 발달
(1) 피아제 : 발달 중심적 관점
(2) 비고츠키 : 학습 중심적 관점
4. 상호작용의 대상과 과정
(1) 피아제 : 대등한 수준의 또래와의 상호작용 강조
(2) 비고츠키 : 높은 수준의 사람과의 상호작용 강조
Ⅴ. 결 론
4. 피아제 theory 이 교수 · 학습에 주는 시사점
아동이 지식을 어떻게 습득하여 지적으로 발달하였는가에 대한 피아제의 theory 은 분명히 교육에 많은 시사점을 제공해 줄 수 있다 피아제의 theory 을 마무리하는 차원에서 그의 theory 이 교수 · 학습에 주는 시사점을 탐색해 보면 다음과 같다.유용하게 활용하세요~피아제비고츠키 , 피아제와 비고츠키 이론 비교 설명-방통대 4학년 가정(의상학),교육(교육학, 청소년), 3학년 가정학과(가정관리)-아동발달 A형기타방송통신 ,
순서
방송통신/기타
피아제와 비고츠키 理論을 검토하고
다.
Download : 피아제와 비고츠키 이론 비교 설명-방통대 4학년 가정(의상학),교육(교육학, 청소년), 3학년 가정학과(가정관리)-아동발달 A형.hwp( 90 )
,%EA%B5%90%EC%9C%A1(%EA%B5%90%EC%9C%A1%ED%95%99,%20%EC%B2%AD%EC%86%8C%EB%85%84),%203%ED%95%99%EB%85%84%20%EA%B0%80%EC%A0%95%ED%95%99%EA%B3%BC(%EA%B0%80%EC%A0%95%EA%B4%80%EB%A6%AC)-%EC%95%84%EB%8F%99%EB%B0%9C%EB%8B%AC%20A%ED%98%95_hwp_01.gif)
,%EA%B5%90%EC%9C%A1(%EA%B5%90%EC%9C%A1%ED%95%99,%20%EC%B2%AD%EC%86%8C%EB%85%84),%203%ED%95%99%EB%85%84%20%EA%B0%80%EC%A0%95%ED%95%99%EA%B3%BC(%EA%B0%80%EC%A0%95%EA%B4%80%EB%A6%AC)-%EC%95%84%EB%8F%99%EB%B0%9C%EB%8B%AC%20A%ED%98%95_hwp_02.gif)
,%EA%B5%90%EC%9C%A1(%EA%B5%90%EC%9C%A1%ED%95%99,%20%EC%B2%AD%EC%86%8C%EB%85%84),%203%ED%95%99%EB%85%84%20%EA%B0%80%EC%A0%95%ED%95%99%EA%B3%BC(%EA%B0%80%EC%A0%95%EA%B4%80%EB%A6%AC)-%EC%95%84%EB%8F%99%EB%B0%9C%EB%8B%AC%20A%ED%98%95_hwp_03.gif)
,%EA%B5%90%EC%9C%A1(%EA%B5%90%EC%9C%A1%ED%95%99,%20%EC%B2%AD%EC%86%8C%EB%85%84),%203%ED%95%99%EB%85%84%20%EA%B0%80%EC%A0%95%ED%95%99%EA%B3%BC(%EA%B0%80%EC%A0%95%EA%B4%80%EB%A6%AC)-%EC%95%84%EB%8F%99%EB%B0%9C%EB%8B%AC%20A%ED%98%95_hwp_04.gif)
,%EA%B5%90%EC%9C%A1(%EA%B5%90%EC%9C%A1%ED%95%99,%20%EC%B2%AD%EC%86%8C%EB%85%84),%203%ED%95%99%EB%85%84%20%EA%B0%80%EC%A0%95%ED%95%99%EA%B3%BC(%EA%B0%80%EC%A0%95%EA%B4%80%EB%A6%AC)-%EC%95%84%EB%8F%99%EB%B0%9C%EB%8B%AC%20A%ED%98%95_hwp_05.gif)
,%EA%B5%90%EC%9C%A1(%EA%B5%90%EC%9C%A1%ED%95%99,%20%EC%B2%AD%EC%86%8C%EB%85%84),%203%ED%95%99%EB%85%84%20%EA%B0%80%EC%A0%95%ED%95%99%EA%B3%BC(%EA%B0%80%EC%A0%95%EA%B4%80%EB%A6%AC)-%EC%95%84%EB%8F%99%EB%B0%9C%EB%8B%AC%20A%ED%98%95_hwp_06.gif)
유용하게 활용하세요~
피아제와 비고츠키 이론을 검토하고두 이론을 비교하는데 중점을 둔 것입니다.
교육의 주된 goal(목표) 는 다른 세대가 이룩한 것을 단순히 반복하지 않고 새로운 것을 할 수 있는 사람, 즉 창의적이고 새로운 것을 발견해 내는 사람을 창출하는 것이다.
(1) 교육의 goal(목표)
어떤 교육과 가르침이 아동에게 유익한가? 교육의 goal(목표) 는 무엇이 되어야만 하는가? 이에 대해 피아제는 ‘발달과 학습’이라는 글에서 교육의 goal(목표) 를 다음과 같이 定義(정이)하였다. 교육의 두 번째 goal(목표) 는 비판할 수 있고 검증할 수 있고 그들에게 제공되는 어떤 것이라도 무조건 받아들이지 않는 정신을 형성시키는 것이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성인의 아동에 대한 조급한 성장의 기대와 지나친 개입은 결코 바람직하지 않다. 즉 아동 스스로의 내면적인 활동과 성숙을 무시하고 지나치게 속도만을 강조하게 되면, 그것이 설령 가능하다고 하더라도 성장에 큰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다(장상호, 1991). 예를 들면, 올챙이를 빠른 속도로 개구리가 되도록 인위적인 조작과 개입을 가해 버리면 자칫 올챙이를 죽음으로 이끌 수 있듯이, 성인들의 조급함으로 인해 일방적으로 아동들에게 개입하는 것은 오히려 아동의 지적 발달에 큰 걸림돌이 된다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