훈민정음이 창제되기 전의 조상들의 문자생활 - 이두, 향찰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22 07:33
본문
Download : 훈민정음이 창제되기 전의 조상들의 문자생활 - 이두, 향찰.hwp
이 방법은 가장 단순한 방법인것 같으나 우리말과 대응하고 있는 한자음이 실제로 지금과 같은 발음이었는가 하는 것…(생략(省略))
레포트/기타




Download : 훈민정음이 창제되기 전의 조상들의 문자생활 - 이두, 향찰.hwp( 13 )
순서
다. 참고하셔서 좋은 성과 받으시길 바랍니다.
2. 후기 이두 표현
(여기서 `표시가 된 한자가 이두토 한자이다.
훈민정음이창제되기전의조상들의문자생활-이두향찰
▪ 이두.
1. 초기 이두 표현
2. 후기 이두 표현
▪ 향찰
▪ 結論(결론)
한자를 빌려 우리말을 표기하는 것은 단순하게 우리말의 발음을 한자음으로 바꾸는 작업이 아닐것이다. 유용한 내용이 되리라 생각합니다.훈민정음이 창제되기 이전 한자차용 표기법으로서의 이두, 향찰에 대한 간략한 레포트입니다. 그런 면에서 한자는 표기하기 위한 문자로 적절하다고 볼 수 없다. 유용한 내용이 되리라 생각합니다.
1. 초기 이두 표현
(여기서 `표시가 된 한자가 이두토 한자이다)
경주 남산신성비 비문의 내용(591) 이두토 以와 敎의 쓰임을 알 수 있다
남산신성비 역시 한자를 우리말 어순으로 표현하고 있으며 그와 더불어 임신서기석과는 달리 문장 성분(成分)들을 연결하는 토를 한자로 표기하고 있는 점을 알 수 있다 여기에서 쓰인 以는 `-으로`를 나타내고, 敎는 `-게 하다`의 사역을 나타낸다.
강원도 양양군 서면 미천리 선림종지에서 발견된 종의 안쪽에 새겨진 비문으로 토의 다양한 표현이 눈에 띤다. 하지만 삼국시대에 우리말을 표기할 수 있는 다른 문자 체계를 가지지 못한 설정에서 한자는 어쩔 수 없는 선택이었기 때문에 이런 한자를 어떻게 하면 우리나라의 언어를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가 하는 것이 문제였을 것이다. 그래서 `고라부리`라는 우리지명은 古 夫里로 표기하는 것 등이다. 참고하셔서 좋은 성과 받으시길 바랍니다. 훈민정음이창제되기전의조상들의문자생활-이두향찰 , 훈민정음이 창제되기 전의 조상들의 문자생활 - 이두, 향찰기타레포트 ,
설명
훈민정음이 창제되기 전의 조상들의 문자생활 - 이두, 향찰
,기타,레포트
훈민정음이 창제되기 이전 한자차용 표기법으로서의 이두, 향찰에 대한 간략한 레포트입니다.
신라인들은 먼저 한자음의 또는 비슷한 음을 가진 한자도 우리말을 표현했다. 임신서기석의 표기법보다 발달된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초기 이두에서 많이 쓰이는 문법적인 요소들은 간단한 한 글자로 정하고 한자에 비해 단어의 음절수가 많은 우리말을 일일이 음표기하는 대신에 그에 맞는 뜻의 한자어로 대체 하거나 반은 뜻을 대체하고 반은 음을 대체하는 식으로 발전해 나간다. 한 언어를 표기할 수 있는 문자로 살아남은 문자들은 간단한 형태를 취하며 또 글자 수도 매우 적다. . 단순히 우리말을 한자음으로 바꾸려고만 했다면 낱말하나하나마다 필요한 한자를 모두 대체하여야 하는데, 그렇다면 그 표기 과정이 굉장히 번거로울 것은 자명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