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성황후 시해 사건 전모에 대한 요약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29 11:01본문
Download : 명성황후 시해 사건 전모에 대한 요약.hwp
나아가 사건 현장에 참여했던 기쿠치 겐죠, 고바야카와 히데오 등 한성신보사(서울의 日本(일본)신문사)의 일인기자는 후일이 저작(<대원군> <조선근대사> <민후저락사건> <조선잡기> 등)을 통해 대원군과 왕후의 갈등구도로서 한국근대사를 날조하였고 이 사건에 관련되어도 그런 식으로 기술하였다. 당초부터 은밀히 진행된 사건인데다가 사건 직후부터 철저히 자행된 日本(일본)측의 資料 인멸과 왜곡 때문일것이다 미우라는 대원군이 이 사건을 주모하였으며 왕후의 시해는 조선군 훈련대가 자행한 것이라고 위증하였는가 하면, 공정한 재판을 통해 불명예를 씻겠다던 日本(일본)정부는 증거 불충분이라는 이유를 들어 범죄에 관련된 日本(일본)군민 모두를 무죄방면하였다. 그 결과 한국민 일반에게는 이 사건이 日本(일본)의 국가적 범죄라는 것이 상식화되어 있는 반면, 日本(일본)에서는 이 사건에 대해 제대로 알고 있는 이들이 많지 않다. 주한日本(일본)공사 미우라의 지시하에 서울 주둔 日本(일본)군 수부대를 주요 무력으로 삼아 日本(일본)공사관원, 영사경찰, 신문기자, 낭인배 등이 경복궁을 침입하여, 민왕후(1897년 명성황후로 추존)를 살해하고 시신을 불태워버린 것이다.
레포트/인문사회
명성황후 시해 사건 전모에 대한 요약
1. 명성황후 시해 사건
1895년 10월 8일 새벽 5시 30분경 서울의 경복궁에서는 세계사상 유례가 없는 만행이 日本(일본)의 군과 경찰, 정체불명의 민간인들에 의해 합동으로 자행되고 있었다.
이 사건은 19세기 말 항일의병이 봉기하는 원인(原因)이 되었고 이듬해 초에는 고종이 러시아 공사관으로 피신하는 사태까지 몰고 왔다. 현재까지도 이 사건은 근대 日本(일본)제국주의의 대한침략을 상징하는 대표적 사건의 하나로 한국민의 뇌리에 각인되어 있따
그러나 이 사건의 배후에 관련되어는 아직까지도 잘 밝혀져 있지 않다. 10여 년 전 日本(일본)의 여성 작가인 쓰노다 후사코 여사의 글에서 사건의 내막이 日本(일본)인들에게 널리 …(To be continued )




명성황후 시해 사건 전모에 대한 요약 , 명성황후 시해 사건 전모에 대한 요약인문사회레포트 , 명성황후 시해 사건 전모 요약
명성황후 시해 사건 전모에 대한 요약
설명
순서
명성황후 시해 사건 전모에 대한 요약
Download : 명성황후 시해 사건 전모에 대한 요약.hwp( 55 )
명성황후,시해,사건,전모,요약,인문사회,레포트
다. 얼마 후 청년 김창수(백범 김구의 초명)가 日本(일본)군 밀정을 살해하고 독립운동에 투신한 것이나 안중근 의사가 이토를 사살한 중요한 계기도 바로 이 것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