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oulartspace.or.kr 백제 > seoulartspace7 | seoulartspace.or.kr report

백제 > seoulartspace7

본문 바로가기

뒤로가기 seoulartspace7

백제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09 07:15

본문




Download : 백제.hwp




지방으로 갈수록 규격성이 떨어지며 특히 옹관 고분에서 묘제가 횡혈식 석실묘로 전환되는 휴암리고분군의 경우는 이러한 규격이 크게 지켜지지 않으며 이는 전 단계까지 독자적인 세력을 지닌 영산강 유역의 특징으로 해석된다된다. 이것으로 장방형 현실이 공주, 사비시기 무덤의 보편적 형태(도면1)였다는 것을 알 수 있따 이러한 경향은 도읍지 뿐 아니라 금강유역의 다른 지역에서도 확인된다된다.

1-a유형 - 동상총과 중하총사이에 규격성이 있음을 알 수 있으므로 중하총이 전축분의 계통을 계승한 아치식임을 감안하면 같은 규모로 축조된 동상총은 중하총과 비슷한 시기에 축조된 것으로 추정할 수 있따
1-b유형 - 매장방식이 합장이라는 점에서 고분이 능산리 동 4호분, 동고분군 중에서 탁월한 규모를 가지고 있따
2유형 - 동하총, 중상총등 길이를 유지하면서도 폭이 좁아지는 경향.
3유형 - 폭에 맞추어 길이도 짧아 지며 장폭화 수치가 2.2~2.5사이로 길이가 폭의 2배를 넘게된다된다. 공주와 사비지역을 살펴보면 공주지역에서는 2㎡-12㎡ 사이의 분포에 2-7㎡미만과 9-12㎡ 사이의 두 그룹으로 나뉜다.

Ⅱ. 사비기 묘제의 특징
1. 횡혈식 석실분

1) 현실 평면형태
사비지역의 경우에는 현재까지 확인된 30여기의 무덤이 모두 장방형이다. 따라서 백제 사비기의 중심 묘제의 경우는 횡혈식 석실이며 횡혈식 석실의 경우는 박장이나 도굴로 인해 유물의 수가 적어 유물을 통한 분류가 어려우며 현실의 평면형태, 규모, 천定義(정의) 모양으로 시기구분이 가능하다.



설명

Download : 백제.hwp( 73 )


순서


백제의 사비시기 묘제

Ⅰ. 머리말

백제 사비기의 경우 중심지인 부여와 공주지역의 경우 횡혈식 석실과 횡구식 석실분이 주로 나타나며 도읍지역이외의 지역의 경우 역시 횡혈식 석실이 주를 이루며 옹관묘, 화장묘, 와관묘가 부수적으로 나타나며 도읍지역이외의 지역의 경우도 시기가 흐르면서 횡혈식 석실로 대체된다된다. 사비지역도 마…(생략(省略))

백제_hwp_01.gif 백제_hwp_02.gif 백제_hwp_03.gif 백제_hwp_04.gif

백제
백제,기타,레포트


백제 , 백제기타레포트 , 백제




백제


레포트/기타

다.

2) 규모

백제 횡혈식석실분의 현실 규모는 1㎡에서 14㎡ 사이를 보인다.
전체 11,878건 1 페이지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evga.co.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 seoulartspace.or.kr.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