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리(整理) 해고에서의 성실한 노사협의의무 관련 판례 연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08 13:10본문
Download : 정리해고에서의 성실한 노사협의의무 관련 판례 연구.hwp
정리해고에서의성실한노사협의의무관련 , 정리해고에서의 성실한 노사협의의무 관련 판례 연구법학행정레포트 ,
Download : 정리해고에서의 성실한 노사협의의무 관련 판례 연구.hwp( 30 )
정리(整理) 해고에서의 성실한 노사협의의무 관련 판례에 상대하여 조사하였습니다.




정리(整理) 해고에서의 성실한 노사협의의무 관련 판례 연구
레포트/법학행정
다.
근로기준법 제31조 제3항이 사용자는 해고를 피하기 위한 방법 및 해고의 기준 등에 관하여 당해 사업 또는 사업장에 근로자의 과반수로 조직된 노동조합이 있는 경우에는 그 노동조합, 근로자의 과반수로 조직된 노동조합이 없는 경우에는 근로자의 과반수를…(투비컨티뉴드 )
설명
정리(整理) 해고에서의성실한노사협의의무관련
정리해고에서의 성실한 노사협의의무 관련 판례에 대해서 조사하였습니다.
순서
,법학행정,레포트
1. 근로자 과반수 대표자의 의미
2. 정리(arrangement)해고 사전협의 기간의 법적 의미
3. 정리(arrangement)해고에 관한 사항의 노사협의회 대상 여부
4. 부분 요건 결여시의 효력
1. 근로자 과반수 대표자의 의미
- 근로기준법 제31조 제3항이 정리(arrangement)해고의 절차적 요건을 규정한 것은 같은 조 제1, 2항이 규정하고 있는 정리(arrangement)해고의 실질적 요건의 충족을 담보함과 아울러 비록 불가피한 정리(arrangement)해고라 하더라도 협의과정을 통한 쌍방의 이해 속에서 실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이유에서라고 할 것이므로, 근로자의 과반수로 조직된 노동조합이 없는 경우에 그 협의의 상대방이 형식적으로는 근로자 과반수의 대표로서의 자격을 명확히 갖추지 못하였더라도 실질적으로 근로자의 의사를 반영할 수 있는 대표자라고 볼 수 있는 사정이 있다면 위 절차적 요건도 충족하였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