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도 의용수비대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09 21:02본문
Download : 독도 의용수비대.hwp
일본전투기가 공격해 올 때에는 울릉도에서 실어온 큰 나무에 검은 칠을해 `위장 대포`를 만들어 물리치기도 했다. 이들은 독도에 대한 일본의 터무니없는 소유권의 주장에 대한 격분과 일본어선의 독도근해 어로 작업에 대한 울릉도 주민의 생존권 보호와 무단 상륙한 일본인을 축출하고 일본 영토표지를 철거했으며, 일본 순시선과 여러 次例(차례) 총격전을 벌였다.
이런 상황에서 53년 4월에 홍순칠 대장을 비롯 유원식,정원도,김병열,양봉준, 이규현, 이필영, 김영호, 서기종 등 33명의 6.25 참전 경험이 있는 혈기 왕성한 청년들이 중심이 되어 순수 민간조직인 의용수비대를 결성하였다. 일본의 독도 침범이 잦자 이에 국회는 1953년 7월 독도를 보전 할 것을 결의하고 경비대를 상주 하도록 하였으며 1954년 8월 15일부터 독도 등대를 점등하고 만국에 통첩했다.
이들은 독도에서 갖은 고…(투비컨티뉴드 )
,인문사회,레포트
다.
독도 의용수비대
6.25의 혼란속에서 日本 은 1953년 6월 25일부터 28일까지 3차례에 걸쳐 미군기를 도용하면서 독도에 상륙하여 1948년 6월 30일 미군...




레포트/인문사회
6.25의 혼란속에서 일본은 1953년 6월 25일부터 28일까지 3차례에 걸쳐 미군기를 도용하면서 독도에 상륙하여 1948년 6월 30일 미군... , 독도 의용수비대인문사회레포트 ,
설명
Download : 독도 의용수비대.hwp( 30 )
순서
독도 의용수비대
독도 의용수비대원 명단
김병열 대원의 회고 중에서
6.25의 혼란속에서 일본은 1953년 6월 25일부터 28일까지 3次例(차례)에 걸쳐 미군기를 도용하면서 독도에 상륙하여 1948년 6월 30일 미군 폭격연습 과정에서 희생된 우리 어부 위령비를 파괴하고, 일본 영토 표지를 하는 등 불법행위를 자행했다. 53년 8월 15일에는 동도암벽에 `한국령`이라 새기고 독도 수비의 결의를 새롭게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