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대 국어의 문체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18 02:22본문
Download : 근대 국어의 문체.hwp
그러나 이러한 국문 필요 의식은 한문 지배 사회 속에서는 현실적 한계가 있어 국문 전용으로는 나아가지 못하고 懸吐式 國漢文 混用의 길로 나아간다.
물론 개화기에도 계층, 장르마다 선호하는 문체의 다중성은 여전하여 권오만(1991)의 연구에서 밝혔듯이 위정척사파와 온건보수파는 한문체, 개화자강파는 국한혼용체, 민중계몽파와 기독개화파는 국문체로 대변되지만 적어도 한문체의 권위는 무너진 것이 분명하였다.
순서
설명
1. 표기 요소
2. 표기요소(2) - 표기법의 특징
3. 운율 요소
4. 어휘 요소
5. 구문 요소
6. 문학 언어의 문체
이처럼 근대 국어의 표기 문체가 작가나 독자 계층, 글의 종류, 장르의 성격에 따라 다중적 성격인 것은 김완진(1983)에서 밝혔듯이 중세 이래 국어 문체사의 한 전통이다.
(2) 六. 敎民才德文藝以治本
先敎人民以國史及國語國文事(不敎本國之歷史文章而但敎淸國之歷史文章故
人民以淸爲本而重之至有不知自國之典故者此可謂捨本取末也)
즉, 그 동안 우리가 中國 역싸와 문장만 중시한 결과 우리의 것을 모르게 되어 본말이 바뀌었다는 지적을 하고 ‘國史, 國語, 國文 敎育’을 주장한 것이 다.
근대 국어 문체의 특징을 기존 연구 업적을 소개하는 식으로 개괄하여 살펴 본다. 개화기 국어는 1876년 개항으로부터 1910년 경술국치기까지로 한다. 그런데 표기 문체의 문제가 국어 문체사에서 심각하게 제기된 것은 근대말인 개화기에 이르러서였다. 국문 사용의 必要性에 대한 formula(공식)적인 제안은 박영효가 고종에게 건의한 ‘內政 改革에 대한 建白書’(1888)의 8개 조항 중, 제 6 항에 잘 드러난다. 근대 국어의 범위는 이기문(1972)에 따라 17, 18, 19세기를 중심으로 하되 특별히 본고에서는 국어 문체사에서 중대 변혁기이던 개화기 국어 시기를 포함한 시기로 한다. 즉 지금까지의 지도 문체였던 한문체가 개화의 도구 문체로 비능률적이어서 개화파를 중심으로 한 국문체나 국한문체에 그 지위를 넘겨주어야 했다. , 근대 국어의 문체인문사회레포트 ,
Download : 근대 국어의 문체.hwp( 24 )






레포트/인문사회
근대 국어의 문체
근대 국어 문체의 특징을 기존 연구 업적을 紹介(소개)하는 식으로 개괄하여 살펴 본다. 漢城旬報 창간사(1883)의 현토체(유길준이 쓴 것으로 추정), 漢城週報(1886-1888)의 3종 기사문체(한문체, 현토체, 국문체) 중의 현토체, 鄭秉夏의 ‘農政撮要’(1886) 중에 나타난 현토체가 그것으로 갑오개혁시 등장한 유길준의 ‘西遊見聞’(1895)에 본격적으로 나타났고 갑오개혁으로 공문서 문체의 하나로 정식 채택된 후 개화기의 지식인들이 …(투비컨티뉴드 )
,인문사회,레포트
다.
이런 의식은 민중 계몽을 위한 필요에 따른 것으로 1880년대 초 친일 개화파를 중심으로 형성되는데 朴泳孝, 兪吉濬, 尹致昊가 대표적이다. 근대 국어의 범위는 이기문(1972)에 따라 17, 18, 19세기를 중심으로 하되 특별히 본고에서는 국어 문체사에서 중대 변혁기이던 개화기 국어 시기를 포함한 시기로 한다. 개화기 국어는 1876년 개항으로부터 1910년 경술국치기까지로 한다.